경제·금융 경제동향

"韓, 자율주행차 주요국 3% 불과…정부 지원 확대해야"

KAIA, '자율주행차 산업현황과 발전과제' 포럼 개최

[KAI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KAI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나라의 자율주행차 주행거리와 데이터 축적 규모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자율주행차 관련 규제를 줄이고 대규모 실증단지를 구축해 기업들이 자유롭게 기술성과 사업성을 테스트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KAIA)는 15일 오전 온라인으로 '자율주행차 산업 현황과 발전과제'를 주제로 '제24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을 개최했다.

KAIA에 따르면 2030년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규모는 6565억달러(약 814조원)로, 2020년 대비 93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 국내 자율주행 시범 서비스 지역은 7개소의 일부 구간에 한정돼 있다. 또 미국과 중국 등은 1000대 이상의 자율주행차가 시범서비스에 참여하고 있지만, 한국은 30여대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조창성 자동차산업협회 스마트안전실장은 "자율주행차는 택시, 버스 등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만큼 이들 운송 수단의 다양한 시범서비스에 대한 경험 축적이 첫 번째"라고 강조했다.

그는 "로보택시는 글로벌 운행 대수가 2021년 617대에서 2030년 144만5822대로 가장 큰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미국 웨이모, 독일 렌터카업체 모빌아이 연합, 중국 바이두 등이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해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데이터와 경험 축적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 실장은 미국과 중국은 지정된 구역 내에서 자유롭게 무인 시범운행을 실시하고 있지만, 한국은 제한된 구역 내에서 보조운전자 탑승을 전제로 자율주행 시범운행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요국과 우리나라가 운행 중인 시범서비스 차량 수는 1000대와 30대로 격차가 크다"며 "웨이모는 3200만km, 바이두는 지난해 2100만km에 달하는 주행거리 데이터를 확보했지만, 한국은 모든 업체를 합쳐 72만km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임원택 에이스랩 대표는 "벤츠와 BMW, 현대차 등이 올해 레벨3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고, 실증서비스를 중심으로 레벨 4 상용화도 노력하고 있다"며 "특히 웨이모와 GM크루즈, 바이두가 실증서비스에서 앞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우리나라는 2027년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 목표로 장기적 관점에서 대응하고 있고, 주요국과 비교하면 투자금과 전문인력이 열세인 상황"이라며 "주요 업체와 유사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 대표는 "민간 중심의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위한 투자 활성화와 신규창업 촉진 정책이 특히 필요하다"며 "대규모 실증베드 구축, 산학연 연계를 통한 신규인력 양성과 AI 등 관련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방지 등이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