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김진애 "尹, 용산 집무실 몰상식…대통령이 왕이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추진하고 있는 '탈(脫)청와대' 공약 관련, 김진애 전 열린민주당 의원이 "민폐가 될 것"이라고 날카롭게 대립각을 세웠다.



김 전 의원은 15일 전파를 탄 TBS라디오 '신장식의 신장개업'에 나와 "(먼저) '광화문 대통령'을 표명한 건 문재인 대통령이었다"면서 "1년 반 정도 위원회에서 검토했는데 2019년 1월 폐기하기로 결론이 났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김 전 의원은 "(그런데) 요 3년 동안에 (광화문) 공간이 달라졌느냐"고 반문한 뒤 "광화문 광장도 지금 상당히 시민한테 돌려주는 시민 친화적인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는 중이다. 이제 대통령 집무실이 있게 되면 여러 활동하고 상당히 갈등의 요소가 많아진다"고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또한 "청와대에 못 들어갈 이유라도 있느냐. 거기다가 제일 이상한 건 뭐냐면 이게 급히 해야 할 일이 아니다"라며 "(광화문 집무실 공약은) 인수위원회에서 두 달 안에 결정해야 하는 게 아니다. 청와대는 대한민국의 상징이고, 세계에서도 하나의 상징이 되고 있다. 그런 것들을 봤을 때 이건 굉장히 신중해야 된다"고 거듭 강한 어조의 비판을 이어갔다.

아울러 김 전 의원은 "더군다나 세종시에도 제2의 집무실을 두기로 확정이 돼가고 있는데, 인수위에서 두 달 안에 급하게 해야 할 일은 절대로 아니다"라면서 "민폐가 될 것이고 절차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날을 세웠다.



여기에 덧붙여 김 전 의원은 광화문에 이어 용산 국방부 청사가 거론되는 것을 두고는 "그러니까 말이 안 된다. 몰상식하다"면서 "정말 비상식적인 게 갑자기 광화문 시대에서 용산 시대로 바뀌는 것 아니냐. 개인의 아파트로 옮길 수 있는 게 아니지 않으냐"고 했다.

관련기사



김진애 전 열린민주당 의원/연합뉴스김진애 전 열린민주당 의원/연합뉴스


더불어 김 전 의원은 "외교부·국방부 나가라고 하고, 총리공관도 얘기한다. 대통령이 무슨 왕이냐"면서 "제가 특히 공간의 민주주의에 대해 예민한 사람인데, 지금은 그게 아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 전 의원은 "그렇게 하지 말고 일단 청와대로 들어가서 청와대에서 저길(업무를) 하면서 (바꾸라)"면서 "지금 청와대는 업무를 보기에 효율적인 공간이 아니다. 대통령을 고립시키는 게 좀 많다. 그래서 비서진들과 같이 있는 공간으로 같이 움직이고 문재인 대통령도 내려와서 같이 일한 적이 굉장히 많은데, 그렇게 청와대를 바꾸는 건 굉장히 필요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윤 당선인의 집무실이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 설치되는 방안이 사실상 확정됐다. 윤 당선인은 ‘광화문 대통령’을 내걸고 청와대가 아닌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 집무실을 마련하려 했지만 경호 문제와 출퇴근 시간 시민들의 불편, 교통 혼란 문제 등의 문제를 수용해 용산에 집무실을 두고 시민들과 호흡할 전망이다.

청와대는 공약대로 시민들에게 개방된다. 국방부는 단계적으로 과천으로 이전하는 안이 유력하다.

서울경제가 15일 윤 당선인 측과 국방부 등 복수의 관계자들을 취재한 결과 윤 당선인은 5월9일 취임 이후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 마련된 대통령 집무실에서 국정을 시작할 방침이다.

윤 당선인측 핵심 관계자는 서울경제에 "광화문에 집무실을 마련하면 관저에서 정부서울청사로 출근하는 시간에 도로와 통신 통제 등으로 시민들의 불편이 엄청 크다는 결론을 내렸다"면서 "광화문은 (당선인 집무실이 없어도)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가서 시민들을 만날 수 있다"고 했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