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정의선 회장, 현대차·현대모비스서 작년 연봉 87억원 받아

현대차 54억원·모비스서 33억원 수령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 제공=현대차그룹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 제공=현대차그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지난해 계열사를 통해 87억여원의 연봉을 받았다.

16일 현대차(005380)와 현대모비스가 공시한 2021년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정 회장은 현대차에서 54억100만 원, 현대모비스에서 33억7500만 원을 수령했다. 현대차에서는 급여 40억 원, 상여 14억 원 등을 받았다. 현대모비스에서는 급여 25억 원, 상여 8억7500만 원을 수령했다.



이에 따라 정 회장의 지난해 연봉은 87억7600만원에 달한다. 지난 2020년의 59억8900만 원보다 약 28억원 늘었다.

관련기사



정 회장의 지난해 급여와 관련해 현대차는 "임원 급여 테이블 및 임원 임금 책정 기준 등 내부 기준을 기초로 직무·직급(대표이사·회장), 리더십, 전문성, 인재육성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상여의 경우 “임원보수지급기준(성과 인센티브)을 기초로 계량지표로는 매출액 및 영업이익 등의 사업실적 및 사업목표 달성 정도, 비계량지표로는 경영진으로서의 성과 및 기여도, 대내외 경영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0∼100% 내에서 지급할 수 있는데 12월에 총급여의 35%를 지급했다”고 했다.

정 회장은 현대차와 현대모비스 외에도 기아의 등기임원을 맡고 있다. 다만 기아에서는 보수를 받지 않는다.

한편 지난해 말 퇴임한 윤여철 현대차 전 부회장은 퇴직금 39억1400만 원을 포함해 57억3900만 원을 받아갔다. 이원희 전 사장도 퇴직금 43억3000만 원을 더해 총 55억4700만 원을, 하언태 전 사장은 퇴직금 29억8300만 원을 포함한 42억9100만 원을, 김병준 전 부사장은 퇴직금 21억8500만원을 포함한 29억5700만원을 각각 수령했다. 알버트 비어만 전 연구개발본부장 사장은 퇴직금 5억9900만 원을 더해 총 27억6900만 원을 받았다.

현 대표이사인 장재훈 사장은 지난해 급여 6억9400만 원을 포함해 9억7700만원의 연봉을 수령했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