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윤호중 "당 쇄신 소명 완주"…사퇴론에도 정면돌파 선택

“당 쇄신 소명 완수”…사퇴 일축

24일 원내대표 선출…콘클라베 방식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거취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 / 연합뉴스윤호중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거취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 / 연합뉴스




대선 직후 내홍에 빠졌던 더불어민주당이 ‘안정’을 택했다. 우선은 ‘윤호중 비대위’ 체제를 유지하기로 결론 낸 것이다. 우여곡절 끝에 돛을 올렸지만 당 쇄신론을 둘러싼 내홍은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다.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은 18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당 쇄신에 대한 소명과 국민의 명령을 완수하는 데 진력을 다하겠다”며 비대위원장직 유지 의사를 밝혔다. 윤 비대위원장은 전날까지 선수별로 당내 의원들과 연쇄 간담회를 가지며 거취 관련 의견을 청취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사퇴 주장도 있었지만, 당내 안정을 위해 소모적인 논쟁은 피하자는 목소리도 높았다.



윤 비대위원장은 “저는 자리에 대한 욕심이나 권한에 대한 아무런 집착도 없으며 오직 당 쇄신을 위한 일념뿐”이라며 “당이 부여한 비대위원장으로서의 직분을 성실하게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어 “비대위는 국민께 드린 약속부터 실천하겠다. 당내 민주주의 토대 위에 더 새로운 민주당을 만들고 시스템 공천과 혁신공천의 조화로 지방선거 승리를 준비하겠다”며 “국민통합 정치개혁, 대장동 특검 추진, 추경을 포함한 민생현안 해결을 반드시 이뤄내겠다”고 다짐했다.

민주당은 다음 주 중 중앙위원회를 열고 현 비대위 체제에 대한 찬반 투표를 진행할 방침이다. 만약 현 체제가 추인되면 8월 전당대회까지 지금의 비대위가 유지된다.

한편 민주당은 윤 비대위원장의 뒤를 이을 새 원내대표를 오는 24일 '콘클라베' 방식으로 선출하기로 확정했다. 별도의 입후보와 선거운동 없이 172명 의원 전원을 대상으로 누가 차기 원내대표로 적합한지 묻는 투표를 진행한 뒤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받는 의원이 원내대표가 되는 방식이다.

다만 1차 투표에서 원내대표가 선정되지 않을 경우 10% 이상을 득표한 의원들을 대상으로 정견 발표를 할 기회를 주고, 2차 투표에서 과반이 나오면 그 사람이 새 원내대표가 된다. 여기에서도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2차 투표 1, 2등을 대상으로 결선 투표를 진행한다.


정상훈 기자·박예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