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이철희-장제원 실무협의 삐걱…文·尹 회동 더 늦어진다

예비비 국무회의 처리 등

양측 합의점 마련 못한 듯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회동을 위한 실무 협의도 삐걱대고 있다. 회동 날짜가 당선 10일을 훌쩍 넘어섰지만 더 늦어질 가능성도 높다. 신구 권력의 충돌 양상이 길어지면서 원활한 정권 이양을 바라는 민심을 저버렸다는 비판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윤 당선인 측에 따르면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은 이날 회동 실무 협의를 위해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과 만난 자리에서 용산 국방부로 집무실을 이전하는 방안에 협조하기 어렵다는 취지로 이야기했다고 한다. 22일 국무회의에 집무실 이전을 위한 예비비 안건을 올리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이에 장 비서실장은 “그건 (당선인과) 만나지 말자는 이야기”라며 “만남을 거부한 것으로 알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윤 당선인 측에서는 “정권 인수인계를 안 하겠다는 것”이라는 반응까지 나왔다.

의제 조율은 이뿐 아니다. 당선인 측은 현 정권 임기 말 공공기관 임원 인사를 두고 ‘알박기 인사’라고 각을 세웠고 청와대 측은 임기 말까지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인사권이 있다고 선을 그어 왔다. 특히 핵심 인사인 차기 한국은행 총재와 감사원 감사위원, 선관위 상임위원 등의 인사권 행사는 지난 회동 무산의 결정적인 원인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다만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서울경제에 “(한은 총재 등) 인사 관련 협의 자체를 한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회동이 열려도 쉽게 결론을 담보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관측도 많다.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은 문 대통령이 단행할 경우 그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공공기관 등 인사에 대해서도 남은 임기 동안 양측이 합의하지 못한 인사를 두고 갈등이 계속될 수 있다. 결국 의제 조율 실패로 등 떠밀리듯 만나 덕담만 주고받는 수준으로 회동이 끝날 공산이 제기되는 이유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