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오세훈 '신통기획'으로 박원순 '도시재생' 지운다

도시재생 1호 창신·숭인 찾아 "민간 재개발 적극 지원"

오세훈(왼쪽 두 번째) 서울시장과 최재형(〃 세 번째) 국민의힘 의원이 종로구 창신동 재개발 구역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시오세훈(왼쪽 두 번째) 서울시장과 최재형(〃 세 번째) 국민의힘 의원이 종로구 창신동 재개발 구역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시




“서울에는 더 이상 집을 새로 지을 땅이 없습니다. (규제 완화를 통해 민간 재개발을 추진하는) 창신·숭인동은 가장 상징적인 곳이 될 것입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1일 도시재생 1호 사업지였던 ‘창신·숭인 지역’을 방문해 추진 상황을 직접 점검하면서 “신속통합기획 민간 재개발을 적극 지원해 주거 환경이 개선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창신·숭인 지역은 서울시 민간 재개발 후보지 중 하나이자 서울의 대표적인 노후 저층 주거지다. 지난 2010년 재정비촉진사업이 추진됐지만 2013년 구역 해제됐고 2014년 박원순 전 시장의 역점 사업인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선정됐다. 이후 수년간 1000억 원 가까운 사업비가 투입됐지만 이렇다 할 정비사업이 진행되지 않아 주민 불편이 가중됐다.

관련기사



이에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 취임 이후 그동안 ‘보존’에 치우쳤던 도시재생을 개발과 정비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대전환하는 ‘2세대 도시재생’을 본격화했다. 또 ‘6대 재개발 규제완화책’을 발표하고 지난해 말 신통기획 민간 재개발 후보지 공모를 통해 창신·숭인 등 재생지역 4곳, 해제지역 3곳을 포함한 신규 후보지 21곳을 선정, 약 2만 5000가구를 새롭게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창신·숭인은 오세훈표 규제 완화와 2세대 도시재생을 통한 주택 공급의 바로미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지난해 신통기획 구역 지정에서 제외된 지역의 재개발 여부를 묻는 질문에 오 시장은 “동시다발적으로 한꺼번에 재개발을 진행하면 또 다른 부작용이 생겨날 수 있어 서울시는 매년 자치구당 1군데씩을 정해 차근차근 진척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