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주간 서울 학생·교직원 7만명 확진…전면 등교율 77%

전주 대비 확진자 1만2525명 증가

초등학교 확진자 발생률 가장 높아

대체교원 800여명 인력풀 추가확대

가족 등 동거인이 코로나19에 확진됐더라도 학생들은 등교가 가능해진 14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연합뉴스가족 등 동거인이 코로나19에 확진됐더라도 학생들은 등교가 가능해진 14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정점 구간에 진입한 가운데 최근 1주간 서울 학생·교직원 약 7만명이 확진됐다. 서울 전체 학교 중 전면 등교 비율은 77% 수준으로 나타났다.



22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주(3월 14~20일) 서울 학생·교직원 코로나 확진자는 학생 6만 4048명, 교직원 5750명 등 6만 9798명으로 집계됐다. 전주 5만 7273명 대비 1만2525명 늘었다. 2주 전인 2만 7491명보다는 2배 이상 많다.

학교급별로는 직전 주와 마찬가지로 백신 접종률이 낮은 초등학교에서 확산세가 가장 컸다. 1주간 1만 명 당 확진자 발생률은 초등학생이 809.4명이었고 중학생 675.0명, 고등학교 592.1명, 유치원 532.5명 순이었다.



같은 기간 교직원은 575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직전 주(4589명)보다 1161명 늘었다. 교직원 확진자 역시 초등학교가 2190명으로 가장 많았다.

관련기사



전날 기준 서울 전체 학교 2109개교 중 약 77.2%인 1628개교가 전면 등교를 했고 이는 지난 14일 기준 1580개교(74.9%)에 비해 약 2.3%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학교급별로는 서울 전체 유치원의 95.7%, 고등학교의 81%, 특수 71.9% 초등학교의 63.3%, 중학교의 59.9%가 전면 등교했다. 등교학생 수는 14일 기준 70만4546명에서 21일 기준 72만1110명으로 일주일 동안 1만6564명 증가했다.

교직원 확진자 급증에 따라 대체 교원 수급도 한계에 이른 상황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21일부터 유·초·중등·특수 교육전문직원 300여명을 한시적으로 결보강 강사로 투입하고, 각 지역교육청에서도 해당 지역의 퇴직교원 및 교원자격증 소지자, 휴직 및 파견교사, 마을 강사 등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총 800여명의 강사 인력풀을 추가로 확보했다.

신속항원검사키트를 활용한 선제검사 지원을 위해서는 4월 둘째 주까지는 주당 학생 2개, 교직원 1개의 검사키트를 배부하고, 셋째 주부터는 학생, 교직원 각각 주당 1개씩 배부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서울시교육청은 대한적십자사 자원봉사단 및 우리교육청 마을결합형 가족봉사단과 연계해 희망하는 과대학교를 대상으로 키트소분 작업을 직접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7일부터 1000명 이상의 과대학교 중 희망학교 57개교에 자원봉사자 총 447명을 배정해 키트소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서울시교육청은 오미크론 확산세에 대해 신속히 대응하고 유아기의 교육결손 해소 등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506억 3000만원 규모의 2022년 첫 추가경정예산(안)을 긴급히 시의회에 제출했다.

조희연 교육감은 “오미크론의 정점을 지나는 가운데 학교는 학생, 교직원 확진자의 폭증이라는 전시 상황 속에서도 일상과 교육 회복을 향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우리 교육청은 가능한 모든 수단과 방안을 총동원해 방역과 교육활동에 고군분투하고 있는 학교 현장을 지원하는데 온 힘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중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