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AI자산관리 키우는 국민銀 '경쟁사 브레인' 모셔왔다

AI자산운용부→센터로 확대 개편

초대 센터장은 신한銀 출신 김철기

60조원대 고유자산에 AI기술 접목





KB국민은행이 리딩뱅크 맞수인 신한은행의 임원을 영입해 인공지능(AI) 자산운용 전략과 실행을 맡겼다. 고유 자산의 운용 성과를 높이기 위한 파격 인사로 풀이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지난 14일 자산운용본부 내 AI자산운용부를 자본시장그룹 직속 AI자산운용센터로 확대 개편했다. 지난해 초 조직이 신설된 지 1년여 만이다. 부장급에서 상무급으로 격상된 AI자산운용센터 총괄에는 김철기(사진) 전 신한은행 디지털혁신단장이 신규 선임됐다.

관련기사



김 센터장은 지난 2017년 6월 위성호 당시 신한은행장이 빅데이터 플랫폼의 고도화를 위해 발탁한 외부 전문가다. BoA메릴린치 등 미국 월스트리트에서 15년 이상 근무한 김 센터장은 한국에 돌아와 금융연수원 교수로 재직했다.

이번에 국민은행에서 2년 임기를 부여받은 김 센터장은 은행의 고유 자산 운용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중책을 맡는다. 국민은행은 대고객 자산관리(WM)뿐만 아니라 고유 자산 운용에도 AI 엔진 기반 모델을 더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국민은행의 지난해 말 연결 기준 총자산은 약 465조 원. 이 가운데 대출 자산(대출 채권)과 예금 등의 부채를 제외한 고유 자산은 약 60조 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김 센터장은 이날 서울경제에 “글로벌 시장에서는 계량 분석(퀀트 투자)과 펀더멘털 분석(액티브 투자)을 모두 사용하는 투자방법론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면서 “이를 위한 핵심 인력과 대체 데이터를 발굴해 차별화된 모델링을 제시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