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젊은도시 울산도 올해 '고령사회' 첫 진입

지난해 노인인구 15만명, 전체 인구의 13.6%…올해 14% 넘어서

고학력·고숙련 베이비붐 세대 잇단 은퇴

노인 주택소유자도 꾸준히 증가…1인당 1.12호 소유

울산시청울산시청




울산도 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24일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은 지난 2011년 노인인구 비율이 7%를 초과하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고, 2021년 노인인구가 13.6%까지 증가했다. 올해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인구 비율 14%를 넘어서는 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2021년 기준 울산의 노인인구(내국인)는 15만 2916명으로 전체인구의 13.6%를 차지했다. 고령사회 진입까지는 불과 0.4% 모자란 수치였다. 최근 10년간 연평균 약 7%씩 증가하는 고령인구 증가세를 감안할 때, 울산은 올해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보면, 울산은 노인인구가 적은 편이다. 지난해 전 국민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17.1%였고, 울산(13.6%)은 세종(10.1%)에서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노인인구 비율이 낮았다. 울산의 노인인구 성비는 여자가 8만 2927명(54.2%) 남자 7만 34명(45.8%)로 여자가 더 많았다.

고령화에 따라 기대수명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2020년 기준 울산시민의 기대수명은 82.7세로, 2011년 79.6세 보다 3.1세 늘었다. 성별로 보면, 여자(85.1세)가 남자(80.4세)보다 4.7세 더 높았다.



기대수명이 늘고 고학력 퇴직자가 많아지면서, 은퇴 후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실버세대가 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를 시작한 2020년 울산의 노인 구직신청 건수는 6862건 이었다. 이는 전년대비 35.8%가 급증한 수치로, 2019년 5052건 보다 1810건이나 늘었다. 또한 2020년 울산시 전체 구직신청 건수의 5.4%를 차지했다. 실버세대가 희망하는 월평균 임금은 150~200만 원 미만이 61.1%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고, 희망직종은 경비 및 청소 관련직이 42.4%로 높게 나타났다.

관련기사



노년층의 주택소유비율도 꾸준히 상승세다. 울산의 주택소유 노인 비율은 2016년 13.8%, 2017년 14.8%, 2018년 15.4%, 2019년 16.7%로 계속 늘고 있다.

2019년 울산의 주택소유 노인 인구는 5만 8810명으로 전년대비 5727명, 10.8%가 증가했다. 특히 80세 이상 주택소유자는 전년대비 20% 넘게 늘었다.

소유한 주택 수는 1채가 5만 529명(85.9%)으로 가장 많았고, 2채 6737건, 3채 이상 1544명이었다. 노인 주택소유자 1명당 평균 1.12채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었다.

2020년 기준 울산의 노인가구는 8만 2543 가구로 전체 44만 4087 가구의 18.6%를 차지했다. 가구원 수를 살펴보면, 2인 가구가 3만 8696가구로 가장 많았고 1인 가구는 2만 7387가구, 3인 이상 가구 1만 6460가구 순이었다. 나이대로 보면, 65세~79세는 2인 가구가 가장 많았으나, 80세 이상은 1인 가구가 절반 정도로 가장 많았다.

주택의 종류는 아파트가 3만 7991가구, 단독주택 3만 4972가구, 다세대 주택 4377가구 순이었다.

기초연금, 노인수당을 제외한 공적연금 수령 인구는 2020년 기준 7만 5950명으로 전체 노인인구의 49.7%였다. 이중 국민연금 수령자가 7만 2505명으로 가장 많고, 공무원연금 2973명, 사학연금 472명 순이었다.

노인 한 명당 국민연금 연간 평균 연금수령액은 585만 1000원이었고, 가장 많은 연금을 수령하는 연령대는 65~69세로 한 명당 731만 1000원을 받고 있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