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단독]"北도발에도 용산…최악에도 7월까진 이전완료"

북한 ICBM 발사, 집무실 이전 계획 차질 우려에

김용현 "그 정도도 대응 못하면 큰 문제" 질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연합뉴스




청와대의 비협조와 북한의 도발에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용산 집무실로 이전한다. 5월 10일 취임과 동시에 용산 대통령집무실은 어려워졌지만 최악의 경우에도 7월까지는 용산 집무실로 옮긴다는 계획이다.



25일 김용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소속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의 부팀장은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북한의 도발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계획을 변경할 사유가 되지 못한다”고 말했다. 취임 후 통의동 인수위 집무실 사용과 서초동 출퇴근 문제 관련해서도 “재고를 할 필요가 없다”며 “최악의 경우에도 (용산 국방부 청사로의 이전이) 7월까지 완료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과 추가 핵실험 등 예상되는 위협은 ‘국가지도통신차량’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정권 교체기를 틈타 북한의 군사 행동이 반복되며 안보 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그는 “그 정도 대응을 못할 정도면 대한민국 군대는 정말 큰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이 같은 위협을) 대응하지 못할 수준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김 부팀장은 “이동식 지휘 차량, 정확하게는 ‘국가지도통신차량’은 (통수권자가) 지방에 가서 순시하시거나 이동하는 과정에선 국방부까지 와서 지휘를 못하기 때문에 있다”라며 “차량에서 국가위기관리 시스템을 이용해 지휘하도록 준비가 돼 있고 화상회의 시설도 있고 재난안전 통신망도 갖춰져 있다”고 말해다. 이어 “산불, 홍수 이런 것을 다 볼 수 있다. 유무선 지시 통신체계 있어 멀리 떨어져 있어도 이상 없이 간단히 지휘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이 취임 직후 통의동 사무실에 머물며 위기시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지하벙커)가 아닌 이동식 국가지휘통신차량(국자지도통신차량)을 이용해 대응한다는 뜻이다.

김 부팀장은 “취임일(5월 10일) 청와대 전면 개방으로 청와대 위기관기센터를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생겨 국방부를 사용해야 한다”며 “(통의동에서 용산구까지) 이동 간에도 간단없이 지휘하실 수 있는 차량”이라고 설명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