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역기업 코렌스EM이 글로벌 완성차업체와 체결한 전기차 부품 공급계약이 파기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문재인 정부가 국정과제로 추진한 ‘부산형 상생 일자리 사업’이 자칫 무산될 위기다. 일각에서는 정부와 부산시가 단순 업무협약 차원의 계약을 정식 납품계약으로 발표해 혼란을 키운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27일 부산시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코렌스EM이 글로벌 완성차업체 A사와 체결한 전기차 동력부품 공급계약이 지난해 파기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코렌스EM은 올해부터 2031년까지 400만대 규모의 전기차 동력부품을 공급할 계획이었다. A사는 계약을 취소한 이유로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글로벌 생산지역 조정을 든 것으로 알려졌다.
코렌스EM의 공급계약이 무산되면서 부산 상공업계는 충격에 빠졌다. 앞서 문재인 정부가 부산형 상생 일자리 사업을 국정과제로 추진했고 사업의 핵심이 코렌스EM의 전기차 동력부품 생산 및 수출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연구개발(R&D) 기반의 원·하청 상생모델인 부산형 일자리 사업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00만대 공급 물량이 계획대로 진행됐다면 부산형 상생일자리 연평균 매출 규모는 1조 5000억 원에 달한다. 김윤일(당시 일자리경제실장) 경제부시장이 “광주형 일자리처럼 노사가 임금을 삭감하는 것이 아니라 확보된 물량으로 적정 임금을 지급하는 원청과 하청의 상성모델"이라고 말한 만큼 지역사회에 미치는 타격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이번 납품계약 취소로 당초 로열티 없이 A사의 전기차 동력부품 기술을 이전받을 것이라는 코렌스EM의 약속도 사실상 공수표가 됐다. 코렌스EM은 A사 자체 기술로 제작된 전기차 동력부품을 생산해 공급하면 원·하청업체가 공동으로 연구개발에 나설 수 있고 이를 통해 전기차 동력부품 국산화에 기술 상생을 이끌 수 있다고 강조해왔다. 현재 코렌스EM은 국내 완성차업체와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부산시가 코렌스EM의 말만 믿고 성급하게 부산형 상생 일자리 사업을 추진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시는 코렌스EM의 납품계약을 기반으로 강서구 국제산업물류도시에 코렌스EM과 하청업체 20여개를 유치해 미래차 부품의 허브로 도약하겠다는 계획까지 세웠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코렌스EM이 현재 확보한 전기차 동력부품 생산 물량이나 공급을 체결한 업체에 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며 “오는 6월부터 해당 부품의 양산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는데 코로나19 확산 등 외부 변수로 인해 늦어질 수도 있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