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폐병 걸린 노인들만 연금으로 버티는 도시…"젊은 광부들, 보상금 받고 또 떠날 것”

[폐광 결정된 태백 탄광촌 가보니]

2025년까지 태백 장성·삼척 도계 순차 폐광

70년대 산업화이끌던 탄광업 역사 뒤안길로

주민들 "광산 잇따라 문닫아 도시 쪼그라들어"

보상금 받은 젊은이 떠나고 고령의 주민들만

상인들 "안 그래도 힘든데 코로나로 죽을 맛"

오는 2024년 폐광 결정이 난 태백 장성광업소의 작업 공간이 한산한 모습이다. 김경택 기자오는 2024년 폐광 결정이 난 태백 장성광업소의 작업 공간이 한산한 모습이다. 김경택 기자




“우리 같은 사람들이야 폐병 걸려 받는 연금으로 먹고 사는데 젊은 사람들이 여기서 먹고 살 수 있는 일이 뭐가 있습니까.”



27일 강원도 태백시 황지동. 완연한 봄 날씨에도 이날 태백 시내는 유난히 적막감이 맴돌았다. 국내 마지막 남은 태백 장성광업소의 폐광이 결정된 이후 인근 지역은 인적이 뜸하다.

지난 2일 대한석탄공사는 내년 말 전남 화순광업소를 시작으로 오는 2024~2025년 태백 장성, 삼척 도계광업소를 폐광하기로 노동조합과 합의했다. 이로써 1970년대 한국 산업화의 중심에 섰던 탄광업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서울경제가 현지에서 만난 태백 주민들은 정부가 탄광업을 대체할 산업을 제대로 마련하지 않고 “막무가내로 폐광시켰다”고 하소연했다. 태백에서 50년 넘게 살아온 임 모(83) 씨는 “대체산업이라고 만든 게 고작 카지노 하나”라며 “옛날에는 ‘지나가는 개도 만 원짜리를 물고 다닌다’는 말이 돌 정도로 도시가 흥했는데 광산이 문을 닫으면서 4만 명이 겨우 넘는 도시로 쪼그라들었다”고 밝혔다. 남궁 모(60) 씨는 “폐광 얘기가 80년대 중반부터 나왔는데 무관심 속에 방치하더니 결국 이 지경이 됐다”고 말했다.



태백시는 1973년과 1978년 두 차례 걸친 석유 파동으로 석탄이 대체 에너지원으로 부상하면서 부흥기를 맞았다. 하지만 88 서울올림픽을 맞아 정부가 석탄 사용을 규제하고 에너지원 수요가 구조적으로 바뀌면서 쇠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정부는 ‘석탄산업법’ 등을 제정하고 석탄 산업의 연착륙을 시도했지만 이는 합리화라는 명분아래 진행된 사실상의 탄광 구조조정이었다.

관련기사



태백시는 지금까지 안정적인 일자리를 위한 마땅한 대안을 찾지 못한 상태다. 태택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광업 종사자는 10년 전인 2011년 1461명에서 지난해 말 546명으로 3분의 1가량 급감했다. 태백시 임금 근로자 중 상용 근로자는 지난 2016년 1만 5000명에서 지난해 9300명으로 11.4% 줄었다. 반면 임시·일용직 근로자의 비율은 지난해 말 27.5%로 5년 전인 2016년 20.5%에 비해 급증했다.

낮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태백 황지자유시장이 썰렁한 모습이다. 이건율 기자낮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태백 황지자유시장이 썰렁한 모습이다. 이건율 기자


고령의 주민들은 태백시의 이같은 모습을 연금으로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자신들의 처지에 비유했다. 30년 이상 광부로 일하다 은퇴한 노 모(73)씨는 “오랜 탄광일로 폐병에 걸려 받는 장애인 연금으로 생활하고 있다”며 “주민들 대부분이 연금 수급으로 살아가는 도시라도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임 씨는 “광산 하나 문 닫을 때마다 젊은이들은 퇴직금이랑 보상금 받고 다 대도시로 떠났는데 이번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태백시 경제 구조는 고령화에 따른 복지·행정 분야를 제외하면 대부분 서비스업 분야에 편중돼 있다. 지난 2019년 태백시의 산업 비중은 도?소매업(13.94%), 숙박 및 음식점업(12.54%),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9.91%) 순이다. 산업 구조가 숙박·음식점 등 서비스업에 편중돼면서 지역 경제는 코로나19와 같은 외부 충격에 더욱 취약해졌다.

주민들은 적게나마 들어오던 관광 수입마저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태백에서 15년 넘게 음식점을 운영해온 고 모(70) 씨는 “주말에는 그래도 태백산 관광을 하러 오는 사람들이 식당에 꽤 많이 들렸는데 코로나19가 시작되면서 관광객들도 크게 줄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다른 식당 사장 임 모(70) 씨는 “매출이 2년 만에 반 토막 났다”며 “인구가 4만 명밖에 안 되는데 차라리 행정 구역을 ‘시’에서 ‘읍’으로 강등시켜 세금이라도 줄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태백시의 한 초등학교가 폐교이후 펜션 등 숙박시설로 이용되고 있지만 찾는 사람이 없어 한산한 모습이다. 강도림 기자태백시의 한 초등학교가 폐교이후 펜션 등 숙박시설로 이용되고 있지만 찾는 사람이 없어 한산한 모습이다. 강도림 기자


태백의 지역 소멸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5년간(2017~2021년) 태백의 만 0~29세 인구는 1만 2051명에서 9418명으로 21.8% 감소했다. 같은 기간 태백시 전체 인구 감소율 10.9%의 약 2배에 달한다. 공인중개업자 성 모(59) 씨는 “장성 광업소에서 일하던 근로자들이 폐광으로 앞다투어 집을 팔려고 하고 있다”며 “지역 경기가 갈수록 어두워지는 걸 몸소 실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동헌 기자·이건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