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대동그룹, 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 시장 진출

국내 기술·생산 인프라로 만든 전기이륜차 보급

LG엔솔 배터리 탑재 및 카카오보빌리티 IT 기술 접목

원유현(왼쪽) 대동모빌리티·대동 대표이사와 안규진 카카오모빌리티 부사장이 29일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카카오모빌리티 본사에서 전기이륜차 시장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동그룹원유현(왼쪽) 대동모빌리티·대동 대표이사와 안규진 카카오모빌리티 부사장이 29일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카카오모빌리티 본사에서 전기이륜차 시장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동그룹




대동그룹은 라스트마일(상품을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최종 단계) 배송 서비스 운영에 특화된 배터리 교환형(BSS) 전기이륜차 시장에 진출한다고 29일 밝혔다.

대동그룹의 전기이륜차는 순수 국내 모빌리티 기술과 생산 인프라를 기반으로 제조되며, LG에너지솔루션이 제공하는 도심내 배터리 교환소에서 충전·교환 서비스가 가능한 배터리를 탑재한다. 또 친환경 시대에 적합한 서비스로 전기이륜차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모빌리티 기업 카카오모빌리티의 플랫폼 운영경험과 정보통신(IT) 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다.



대동그룹은 지난해부터 대동모빌리티를 중심으로 3대 미래 사업의 하나인 스마트 모빌리티 시장에 진출했다. 대동모빌리티는 2021년부터 5년간 2234억원을 투자하는 농업용·비농업용의 스마트 모빌리티 플랫폼(초소형·소형·중형·대형 및 E-바이크 전용) 사업 계획을 수립해 본격 추진 중이다. 대구 달성군에 있는 대구국가산업단지에 모빌리티 신공장을 올해 하반기까지 완공해 전기이륜차 제작 모회사인 대동과 함께 첫 번째 제품을 연내 양산하는 게 목표다.



배달 라이더들이 뽑은 현재 전기이륜차의 문제점은 △충전 대기 시간 △관리 서비스의 번거로움 △운전 피로감 △잦은 시동 온·오프(on·off)의 불편함 △배달콜을 위한 휴대폰 거치대 등이다.

대동그룹은 이 같은 요구사양들을 반영해 라스트마일 배송에 특화된 BSS방식의 전기이륜차로 개발했으며 현재 인증 시험을 준비 중이다. 제품에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차별화된 커넥티드 서비스를 채택했다. 이를 통해 차량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소모품교환주기, 도난방지를 위한 안전지역 및 시간 설정, 운전 습관 및 운행정보 등 운전자가 전기이륜차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원유현 대동모빌리티·대동 대표이사는 ”기존의 이륜차 사업자와 차별화를 꾀하고 외국산에 밀린 국내 전기이륜차 산업의 주도권을 가져올 것이다”며 “시장 전망이 밝은 배달물류 시장에 전기이륜차를 시작으로 경·소형 전기트럭도 생산해 대동그룹의 새로운 미래먹거리로 육성해 나아갈 것이다”고 말했다

안규진 카카오모빌리티 부사장은 “국내 기반 최고 수준의 제조 역량을 가진 대동모빌리티는 이륜차 시장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스마트한 이동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위해 카카오모빌리티가 보유한 IT 기술과 플랫폼 운영 역량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배달 오토바이 사용이 급증하면서 정부는 탄소중립 조기 달성과 대기오염 물질 저감을 위해 전기 이륜차 국내 보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환경부는 ‘2022년 전기이륜차 보조금 업무처리지침’을 통해 올해 2만대의 전기 이륜차에 보조금 지원 계획을 공표했다. 또 서울시는 오는 2025년까지 전업 배달용 오토바이를 100% 전기오토바이로 교체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