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우크라 침공 사태로 부산항 러시아 물동량 타격…일부 정기노선 운항중단

BPA,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긴급간담회 개최

부산항 이용 고객사 현황 및 애로사항 청취

28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긴급 간담회가 열렸다./사진제공=부산항만공사28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긴급 간담회가 열렸다./사진제공=부산항만공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부산항의 러시아 물동량이 타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항만공사(BPA)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부산항 이용 고객의 현황과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긴급 간담회를 28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열었다고 29일 밝혔다. 간담회에는 부산항 이용 선사를 비롯해 수산업계, 물류기업 대표 등 10여 개 업체가 참석했다.

부산항의 러시아 컨테이너 물동량은 2021년 기준 약 83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중국(630만TEU), 미국(330만TEU), 일본(291만TEU) 다음으로 많다. 부산항과 러시아 간 환적 물동량은 최근 5년간 꾸준히 늘어났고 2020년 이후에는 연평균 성장률이 35%에 이른다.



하지만 이번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인해 러시아로 향하는 화물의 선적 예약이 잇따라 취소되면서 극동 러시아를 기항하는 일부 선사들의 정기노선도 운항을 중단했다.

관련기사



3월 현재 부산항의 극동 러시아 정기노선은 당초 15개에서 5개가 줄어 10개만 운영 중이다.

정기노선 운항을 중단한 선사들은 “해당 노선 운항을 잠정 중단했지만 향후 빈 컨테이너 회수 및 부산항에 임시 장치된 화물과 추가 물량 운송을 위해 임시 선박을 투입할 예정”이라 밝혔다.

수산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수산업의 경우, 한국의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금액은 연간 1조5000억원에 이르며 감천항 수산물 하역물량의 약 70%(약 91만톤)가 러시아산 냉동 수산물이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러시아 선박·화물에 대한 제재 조치는 관련 업계의 경영악화뿐만 아니라 물류 혼란을 가중시킬 우려가 크므로, 정부와 유관기관이 EU(유럽연합)의 러시아 선박 입항 금지와 같은 강력한 대(對) 러시아 제재 조치에 신중하게 접근해 달라”고 요청했다.

강준석 BPA 사장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해운·물류 업계 전반에서 경영여건 악화가 예상된다”며 “업계의 애로를 파악하고 건의사항을 수렴해 부산항 이용고객들이 러시아 연관 사업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