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종가의 맛’ 대상, 美서 김치 직접 담근다

LA에 업계 첫 美공장 건립

현지서 직접 생산해 수요 대응

비건김치 등 식문화 적극 반영

2025년 美매출 1000억 달성

加·유럽 등 서구권 전역 공략

김치 세계화 전초기지로 활용

미국 LA 인근에 3000평 규모로 들어선 대상의 김치 공장 전경. 사진=대상미국 LA 인근에 3000평 규모로 들어선 대상의 김치 공장 전경. 사진=대상




대상(001680)이 국내 식품업계 최초로 미국 로스앤젤레스(LA) 현지에 김치 공장을 완공하고 제품 생산을 시작했다. 그동안 국내 생산 물량을 수출하는 방식으로 현지 김치 수요에 대응해 왔는데 김치 인기가 계속 높아 미국에서 직접 생산해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우선 2025년까지 미국 현지 매출액을 1000억 원까지 끌어올리고, 미국을 대상의 김치 브랜드 ‘종가집’ 의 세계화 전초기지로 삼아 유럽과 캐나다, 오세아니아 등 서구권 전역으로 시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대상은 2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LA인근 시티 오브 인더스트리에 총 3000평(1만㎡) 규모의 김치 공장 설립 프로젝트를 끝내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미국 공장은 대상의 열 번째 해외 생산 시설인 동시에 비(非)아시아권에 처음 세운 공장이다. 현재까지 약 200억 원을 투입해 연간 2000 톤의 김치 생산이 가능한 제조 라인과 시설을 갖췄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오리지널 김치를 비롯해 미국 현지 식문화와 트렌드를 반영한 비건 김치, 백김치, 비트김치, 피클무, 맛김치, 양배추 김치 등 총 열 가지다. 기존 국내 공장에서 수출하던 제품에 현지 생산 제품을 추가해 현지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넓혔다. 미국에서 유통되는 브랜드는 국내와 마찬가지로 ‘종가(Jongga)’를 계속 쓰기로 했다. 자동화 설비 및 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2025년까지 미국 현지 식품 사업 연간 매출액 1000억 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대상 미국 LA공장 직원들이 현지에서 생산된 종가집 김치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대상대상 미국 LA공장 직원들이 현지에서 생산된 종가집 김치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대상




대상이 미국 현지에 생산 기지를 세운 것은 미국인들의 김치 소비가 눈에 띄게 늘고 있어서다. 김치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건강에 좋은 발효 식품’이라고 알려지면서 인기가 가파르게 높아졌다. 소비층 또한 우리 교민과 아시아계에서 현지인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국내에서 미국으로 수출된 김치 수출액은 2825만 달러로 전년 대비 22.5%,

관련기사





2011년(279만 달러)에 비해서는 10배 이상 증가했다. 대상의 미국 수출액도 2021년 1617만 달러로 전년 대비 37.8% 성장했다. 대상 관계자는 “ LA공장 본격 가동을 통해 미국 현지인들이 즐겨 찾는 월마트와 코스트코 등 대형 매장 내 종가집 김치 입점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상이 미국 현지에서 생산하는 비건 양배추김치. 사진=대상대상이 미국 현지에서 생산하는 비건 양배추김치. 사진=대상


LA공장이 본격 생산 궤도에 오르면 미국을 넘어 캐나다, 유럽 등으로도 종가집 김치 공급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종가집 김치는 일본과 미국, 유럽 일부 국가, 호주,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전 세계 40여 개 국가에 진출해 있다. 임정배 대상 대표는 “미국 시장은 김치 세계화를 위한 전초 기지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며 “LA공장이 안정화하면 향후 공장을 확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내 김치 전체 수출액은 매년 수직 상승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국내 김치 수출액은 2016년 7900만 달러에서 지난해 1억 5990만 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하며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이 중 대상의 김치 수출액은 2016년 2900만 달러에서 지난해 6700만 달러로 131% 증가하며 역시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국내 총 김치 수출액에서 대상이 차지하는 비율 역시 42%까지 늘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