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 신약개발 플랫폼 하반기 론칭"

김우현 AI신약개발지원센터장 기자간담회

"AI로 신약개발 주기 15→7년 단축"

30일 김우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장은 취임 후 첫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AI 신약개발, 제약강국 도약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제약바이오협회30일 김우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장은 취임 후 첫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AI 신약개발, 제약강국 도약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신약개발 주기를 15년에서 7년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과 함께 올해 하반기 제약사와 AI개발사 모두가 참여하는 플랫폼을 선보이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김우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장은 30일 취임 후 첫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AI를 이용한 후보물질 설계부터 시작해서 유전체 등 생체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임상과 임상시험을 설계하고 최적 환자군을 도출하여 불확실성, 그리고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것"이라며 "협업 비즈니스를 촉진하기 위한 실행방안으로 ‘신약개발 연구자를 위한 AI 플랫폼’을 올 하반기에 출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김 센터장은 이달 초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산하 AI신약개발지원센터 2대 센터장으로 선임됐다. 김 센터장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교수이자 AI 신약개발 플랫폼 기업 히츠(HITS)의 공동 창업자다.

관련기사



김 센터장은 "현재 제약기업 30곳에서 자체 개발하거나 신약 개발 AI 기업과 협업해 AI 기술을 확보해나가고 있다"면서도 "해외 사례와 비교할 때 한국 AI 신약 개발 시장은 인수합병(M&A), 라이센스 인-아웃 같은 뚜렷한 비즈니스 모델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해결책으로는 제약과 AI, 각 전문 영역의 활발한 소통을 가장 먼저 꼽았다. 이를 위해 오는 5월부터 국내외 AI 기술 동향과 AI 기업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구축해 가동하고, 전문가 자문위원회와 AI 신약개발 협의체를 운영할 예정이다. 더불어 두 분야의 이질성 극복을 위해 앞서 3년간 800명의 교육생을 배출한 온라인 교육 플랫폼 라이드(LAIDD)를 고도화할 방침이다.

AI 활용에 걸림돌로 제기돼 왔던 의료 데이터에 관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강구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 센터장은 "인력과 기술 못지않게 중요한 게 데이터"라며 ”산·학·연·병을 아우르는 국가 차원의 컨소시엄이 구축된다면 AI 신약개발 사업은 분명 가속 페달을 밟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