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김정숙 여사, 새 사저 신축목적 11억 빌려…靑 "상환 완료"

[공직자윤리위 재산변동 공개]

재산은 1년새 1억여원 늘어

靑 참모진 평균 재산은 19억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8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8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재산이 1년간 1억여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5년의 재임 기간 동안 생활비로 13억여 원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문 대통령 내외의 사비 지출 규모가 공개됐지만 김정숙 여사의 의류 구입비 등에 대한 의혹을 풀기에는 여의치 않다는 평가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31일 이 같은 내용의 정기 재산 변동 신고 사항을 관보에 게재했다. 문 대통령의 지난해 말 기준 총재산은 21억 9100만 원으로 전년보다 1억 1400만 원가량 증가했다.




문 대통령은 경남 양산 토지와 제주 임야 등 토지 4억여 원과 양산 주택 등 건물 25억여 원을 신고했다. 채무는 16억여 원이라고 밝혔는데, 이 가운데 11억 원은 김 여사가 타인으로부터 차입한 금액이다. 청와대는 양산 사저 건립에 14억 9600만 원이 소요돼 채무가 발생했고 이미 상환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청와대는 김 여사에게 돈을 빌려준 사람에 대해 “이해관계자가 아니며, 이자 비용도 다 지급했다”면서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아들 준용 씨와 딸 다혜 씨의 재산에 대해서는 독립 생계 유지를 이유로 고지를 거부했다.

5년 재임 기간 동안 문 대통령의 세후 총소득 16억 4700만 원(세전 19억 8200만원) 이었다. 이 가운데 13억 4500만 원을 생활비로 지출했는데 일부는 김 여사의 의류·액세서리 구입 등에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청와대는 사비인 만큼 구체적인 내역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다. 1년에 평균 2억 6900만 원을 집행한 셈인데 대통령 내외는 경조사와 친교 활동 등에 광범위하게 지출하고 있어 의류 구입 의혹을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는 김 여사가 의상 170여 벌을 비롯해 액세서리 200여 개를 공식 석상에서 착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문 대통령과 함께 공개한 청와대 참모진의 재산은 평균 19억 1700만 원으로 집계됐다. 남영숙 경제보좌관은 거주지 이전으로 인한 일시적 2주택 상황이 반영돼 1위(75억 7400만 원)에 올랐다. 또 김한규 정무비서관(54억 5600만 원), 서훈 국가안보실장(47억 8000만 원), 유영민 대통령비서실장(38억 5200만 원), 이호승 정책실장(37억 7100만 원)도 문 대통령보다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청와대의 1주택 소유 방침에도 불구하고 일부 참모진은 여전히 ‘1주택+알파(α) 상황’을 유지하고 있는 점도 확인됐다. 이태한 사회수석은 경기도 의왕시 아파트와 함께 전주시 단독주택 지분 15%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모란 방역기획관 역시 대전 서구 아파트와 함께 경남 양산시 단독주택 지분 25%를 신고했다.

한편 정부 고위공직자 1978명의 재산은 1인당 평균 16억 2145만 원으로 전년보다 1억 6000만여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