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거리두기’에 서울 수돗물 사용량 2.8% 감소

2019년, 2020~2021년 사용량 비교

공공·일반·욕탕용 줄고 가정용만 늘어

자료 = 서울시자료 = 서울시




최근 2년간 서울의 연평균 수돗물 사용량이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보다 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중목욕탕에서 사용하는 욕탕용 수도 사용량은 같은 기간 40.6%나 줄었다. 수돗물 사용량 감소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분석된다.



31일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2020∼2021년 서울시 내 연간 평균 수돗물 사용량은 10억 3491만 톤으로 2019년의 10억 6506만 톤의 2.8%인 3015만 톤 줄었다. 이러한 감소량은 석촌호수 담수량인 636만 톤의 4.7배에 달하는 규모다. 연도별 사용량은 2020년 10억 4543만 톤, 2021년 10억 2439만 톤으로 2019년 대비 각각 1.8%, 3.8% 감소했다.

관련기사



용도별로 2019년과 2020~2021년의 연평균 사용량을 비교하면 가정용만 약 2000만 톤(3.2%) 늘었고 나머지는 모두 줄었다. 상업·영업 시설에서 쓰는 일반용은 약 3000만 톤(11.7%), 학교·병원 등 공공용이 약 1000만 톤(18.5%), 대중목욕탕에서 사용하는 욕탕용은 약 800만 톤(40.6%) 각각 감소했다. 코로나19 사태 발생 후 가정에 머무는 시간은 늘어나고 식당·영화관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이 줄어든 결과로 풀이된다. 공공용 사용량 감소는 원격수업 확대와 함께 대학교 기숙사 상주 학생의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자치구별로 감소 폭이 가장 큰 곳은 업무·상업 시설 밀집 지역인 중구(-17.0%)였고, 이어 종로구(-11.3%), 강남구(-4.9%) 순이었다. 반면 주거시설이 많은 강동구(4.6%), 은평구(0.4%) 사용량은 소폭 증가했다. 25개 구 평균으로는 11.7% 감소한 가운데 중구의 일반용 수돗물 사용량은 2019년과 비교하면 2020년에는 21.4%, 2021년 26.1% 각각 줄어 더 큰 감소세를 나타냈다.

올해 들어 1~2월 수돗물 사용량은 총 1억 6415만 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억 6239만 톤보다 1.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시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지침(위드 코로나)에 따른 일상 회복 추세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했다. 구아미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달라진 서울시민의 일상을 수돗물 사용량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며 "올해는 일상 회복에 따라 수돗물 사용량도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