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공급쇼크' 유럽, 에너지·생필품 시장통제 확산

獨·오스트리아, 러 가스차단 대비

에너지수급 관리 비상 체제 돌입

스페인, 마트 물품구입 수량 제한

'두자릿수 물가상승률' 전망도 나와

ECB "적극적 통화정책 펼 것"

스페인 마드리드의 한 슈퍼마켓에서 소비자가 텅 빈 진열대 앞을 지나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스페인 마드리드의 한 슈퍼마켓에서 소비자가 텅 빈 진열대 앞을 지나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여파로 유럽이 에너지와 식품 ‘공급 쇼크’에 직면했다는 경고가 나왔다. 에너지 공급난 타개를 위해 독일과 오스트리아 정부는 에너지 수급을 관리하는 국가 비상 체제에 돌입하고 급격한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스페인은 소비자들의 마트 구입 물품 개수를 제한하기로 하는 등 각국에서 공급난 타개를 위한 시장 통제 움직임도 일고 있다.



30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앞서 독일이 러시아의 가스 공급 중단에 대비해 비상조치 1단계 조기 경보를 발령한 데 이어 오스트리아도 긴급사태를 선포하고 정부가 가스 흐름을 집중 모니터링하는 1단계 비상 계획에 돌입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로베르트 하베크 독일 부총리 겸 경제장관은 “가스 공급이 부족할 경우 산업계에 대한 배급을 줄이고 가정과 병원, 주요 기관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스 대금을 루블화로 받겠다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날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의 통화에서 “유럽이 가스 대금을 가스프롬 은행으로 송금하면 유로화로 결제할 수 있다”고 제안함에 따라 더 극심한 에너지 위기로 비화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숄츠 총리는 이에 바로 동의하지 않고 구체적인 서면 정보를 요구하며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다. 에너지 가격이 40%나 폭등하면서 독일의 3월 물가 상승률은 7.3%로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스 수입의 80%를 러시아에 의존하는 오스트리아도 1단계 비상 계획에 들어갔다. 가스 공급난이 가시화하면 일반 가정에 대한 에너지 공급 보장에 우선순위를 두는 2단계가 시행되고 이후 정부가 가스를 배급하는 3단계가 검토될 예정이다.

스페인 정부는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인한 트럭 운전사들의 파업과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공급 부족이 맞물려 생필품 조달이 심각한 지경에 이르자 슈퍼마켓이 소비자들의 마트 구입 물품 개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허용하는 조치를 내렸다. 식용유와 우유·밀가루·쌀 등 생필품 품귀 현상과 함께 심각한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스페인의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85년 이래 가장 높은 9.8%에 달했다. 그리스 슈퍼마켓들 역시 해바라기유와 밀가루 등의 구매 제한을 실시하고 있다.

이처럼 유럽 각국의 경제 상황이 악화하자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이날 유럽의 ‘에너지·식품 공급 쇼크’를 경고한 뒤 “공공과 민간 금융이 협력해 투자가 빠르게 연결되도록 하고 유연한 통화정책이 필요하다”며 적극적인 경기 지원을 시사했다. 카르스텐 브레스키 ING 거시경제연구팀장은 “나쁜 소식은 현 상황이 인플레이션의 끝이 아니라는 것”이라며 "두 자릿수 물가 상승률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라고 경고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