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플랫폼·글로벌화 통해 금융산업 경쟁력 높여야"

[대한민국 베스트 뱅커 대상 시상]

31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베스트 뱅커 대상 시상식에서 박정훈(뒷줄 왼쪽 일곱 번째)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김종민(〃 다섯 번째) 금융감독원 부원장, 베스트 뱅커로 선정된 윤종원(앞줄 왼쪽 일곱 번째) IBK기업은행장, 이종환(뒷줄 왼쪽 여섯 번째) 서울경제신문 대표이사 부회장 등이 수상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호재 기자 2022.03.3131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베스트 뱅커 대상 시상식에서 박정훈(뒷줄 왼쪽 일곱 번째)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김종민(〃 다섯 번째) 금융감독원 부원장, 베스트 뱅커로 선정된 윤종원(앞줄 왼쪽 일곱 번째) IBK기업은행장, 이종환(뒷줄 왼쪽 여섯 번째) 서울경제신문 대표이사 부회장 등이 수상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호재 기자 2022.03.31




지난해 한국 금융 산업의 발전 양상을 돌이켜보고 금융인들의 성과를 격려하기 위한 ‘대한민국 베스트 뱅커 대상’ 시상식이 성황리에 끝났다. 어느 때보다 양호한 실적을 냈고 디지털 및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측면에서 성과를 보여 축하와 함께 포스트 코로나 이후의 불확실성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라는 인식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박정훈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은 31일 서울경제가 주최하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후원으로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대한민국 베스트 뱅커 대상’ 시상식에서 “지난해 은행과 금융회사들이 좋은 실적을 거두기도 했지만 이제는 잠재 부실을 미리 점검하고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하는 등 철저히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며 “금융의 디지털화와 플랫폼화, 나아가 글로벌화를 통해서 금융 산업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김종민 금융감독원 부원장도 축사에서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경제 시스템이 디지털과 녹색경제로 대전환될 것”이라며 “금융권의 적극적인 역할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 부원장은 또 “금융권 스스로도 급격한 환경 변화에 대응해 사업 모델을 혁신하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금융 산업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환 서울경제신문 대표이사 부회장 역시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어떤 것이 현명한 대처일지 모두 머리를 모아야 한다”며 “서울경제도 대한민국 금융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금융인들의 공적과 노고를 알리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윤종원 IBK기업은행장이 대상인 베스트 뱅커상을 수상했고 김미숙 하나은행 연금사업본부장이 베스트 여성 뱅커상을 받았다. 베스트 뱅크상은 KB국민은행이, 베스트 공기업상은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수상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