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일상으로 하나씩 전환…정부 "일시에 '엔데믹 선언' 안돼"

세계 보건의 날을 하루 앞둔 6일 오후 광주 동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업무 교대를 준비하고 있다./연합뉴스세계 보건의 날을 하루 앞둔 6일 오후 광주 동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업무 교대를 준비하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오미크론 변이 유행 이후의 일상회복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골자는 특정 시점에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지는 감염병)을 선언하고 한순간에 일상으로 돌아가기보다는, 코로나19 이후 가동 중인 특수체계를 조금씩 일상적인 체계로 전환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일상회복 계획 준비에 대한 질의에 "지금 논의는 진행되고 있다"며 "구체화하면 공유해드리겠다"고 답했다.

박 반장은 코로나19의 감염병 등급을 1급에서 2급으로 조정하는 논의와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에 대한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김부겸 국무총리는 "우리나라는 엔데믹으로 전환하는 세계 첫 번째 국가가 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져본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정부는 일시에 모든 코로나19 대응체계를 푼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엔데믹은 학문적인 용어로서 개념 정의의 범위가 상당히 넓다"며 "거리두기 해제를 엔데믹으로 평가하기에는 이견이 있거나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들이 있다"고 전제했다.

이어 "코로나19에 대해 특별한 방역관리체계를 두지 않고 계절 요인이나 특이한 사항에 따라서 나타나는 다른 감염병들과 동일하게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엔데믹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손 반장은 현재 코로나19 대응체계를 완전히 일상적으로 대응하도록 전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BA.2(스텔스 오미크론) 등 변이 문제도 있고 아직은 의료대응체계를 바꾸는 데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이 한국산 수입 의류를 코로나19 감염원으로 지목한 것에 대해 박 반장은 "아직 확인한 바 없고, 의류를 통한 감염이 가능한지 여부도 상황에 따라 다르다"라며 "특별하게 답변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김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