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현대차 GV80·넥쏘 안전기준 부적합… 리콜 후 과징금 부과

K7 앞면 창유리 불량에 충돌시 상해 가능성… 16만대 리콜

제네시스 GV80. 사진제공=현대차제네시스 GV80. 사진제공=현대차




국토교통부는 기아(000270)·현대차(005380) 등 5개사가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총 9개 차종 23만 3557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를 한다고 7일 밝혔다.



기아가 제작·판매한 K7 16만 4525대(제작일자 2009년 11월 18일~2016년 5월 23일)에서는 앞면 창유리의 부착 불량으로 충돌 시 창유리가 이탈되고, 이로 인해 탑승자가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차가 제작·판매한 GV80 6만 4013대(2019년 12월 31일~2022년 3월 25일 제작)에서는 타이어공기압 경고장치 소프트웨어 오류로 주행 중 타이어 압력이 낮아지더라도 경고등이 켜지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확인됐다.

현대차의 넥쏘 3354대(2021년 9월 1일~2022년 3월 4일 제작)에서도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발견됐다. 통합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오류로 뒷좌석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경고등이 켜져 있어야 하는 시간이 기준치를 충족하지 못했다.



국토부는 두 개의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에 대해 우선 제작사에서 자발적으로 리콜을 진행하도록 한 뒤 추후 시정률 등을 고려해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현대차의 넥쏘 654대(2018년 1월 10일~12월 17일 제작)에서는 수소 충전구 내부 부품(충전소켓 필터)의 강도 부족으로 수소 충전 시 부품이 손상돼 수소 가스가 누출될 가능성이 확인됐다. 이로 인해 안전에 지장을 줄 수 있어 리콜이 결정됐다.

폭스바겐그룹코리아가 수입·판매한 골프 A7 1.4 TSI BMT 966대(2015년 7월 28일~2016년 5월 27일 제작)에서는 연료레일 고정 볼트의 체결 불량으로 연료가 새어 나와 화재로 이어질 우려가 제기됐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수입·판매한 S 400 d 4매틱 등 4개 차종 29대(2020년 11월 11일~2021년 2월 19일 제작)에서는 에어백 제어장치 고정 볼트의 조임 불량으로 주행 중 의도치 않게 에어백이 전개되거나 사고 시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확인됐다.

국토부는 우선 수입사에서 자발적으로 리콜하도록 한 뒤 추후 시정률 등을 감안해 과징금을 부과한다.

기흥인터내셔널이 수입·판매한 맥라렌 GT 16대(2019년 9월 8일~2021년 8월 12일 제작)에서는 에어백 제어장치 연결부(커넥터)의 체결 불량으로 사고 시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아 탑승자가 다칠 가능성이 발견됐다.

이번 리콜 대상 차량은 각 제작·판매사의 공식 서비스센터 등에서 무상으로 수리 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 제작사는 소유자에게 우편과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로 시정 방법 등을 알리게 된다. 리콜 전 자동차 소유자가 자비로 수리한 경우 제작사에 비용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