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CJ대한통운, 최첨단 기술 인도로 이전…2대 대신 1대로 효율↑

'수송 복화 알고리즘' CJ다슬로 이전

빅데이터 기반 효율적인 경로·방식 제공

효율성 높여 탄소 배출량 저감 효과도

CJ다슬 수송 차량이 고속도로를 달리고 있다. /사진제공=CJ대한통운CJ다슬 수송 차량이 고속도로를 달리고 있다. /사진제공=CJ대한통운




CJ대한통운(000120)이 최첨단 혁신 물류 기술을 해외 이전하며 글로벌 시장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8일 TES물류기술연구소에서 개발한 ‘수송 복화 알고리즘’을 인도에 기반을 둔 글로벌 계열사인 CJ다슬에 이전해 화물 차량 운영 효율을 10% 이상 높였다고 밝혔다.



수송 복화 알고리즘 시스템은 물류센터, 거래처 등을 오가는 대형 수송 차량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가장 효율적인 운송 경로와 운영 방식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국내에서는 수송 복화 알고리즘을 택배, 계약 물류 등 수송 역량이 필요한 다양한 물류 사업에 접목 시켜 활용하고 있다.

관련기사



CJ대한통운은 지난해부터 수송 복화 알고리즘 기술을 CJ다슬로 이전해 효율성을 높였다. 인도 최대 수송 기업인 CJ다슬은 하루 2000대가 넘는 수송 차량을 인도 전역에서 운영하고 있다.

특히 물류 운영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진행하던 기존의 단순 임시 배차 방식과 달리, 수송 복화 알고리즘은 수송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출발지, 도착지, 차량 종류, 운행 경로 등 인도 전역을 횡단하는 수송 차량과 관련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물류 네트워크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수송 복화 알고리즘은 수송 차량의 전체 이동 거리를 단축할 수 있어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필요한 고정 차량 대수에 대한 사전 예측이 가능하고 매치백을 통해 동일한 경로를 공차로 운행하는 비율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운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뉴델리와 뭄바이를 화물을 싣고 각각 오가는 2대의 임시 차량 대신, 예측된 정보를 활용해 고정된 노선을 1대의 차량 만으로 운영할 수 있다.

수송복화 알고리즘은 CJ대한통운의 TES물류기술연구소에서 자체 개발한 시스템이며 국내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로봇, AI, 빅데이터 기반의 기술을 바탕으로 핵심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 물류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수송 복화 알고리즘과 같은 최첨단 기술의 해외 이전을 통해 글로벌 시장 확장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