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법 "가습기살균제 과징금 재판 다시 하라"

원고 승소 원심 파기환송

환경보건시민센터 회원들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유족들이 6일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 앞에서 열린 무책임한 가습기살균제 살인기업 옥시와 애경규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환경보건시민센터 회원들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유족들이 6일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 앞에서 열린 무책임한 가습기살균제 살인기업 옥시와 애경규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가습기살균제 속 유해 물질을 제대로 라벨에 표시하지 않고 제조·유통한 애경산업과 SK케미칼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가 부과한 시정명령과 과징금 처분을 취소한 1심 판단이 정당한지 다시 심리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2부(주심 천대엽 대법관)와 3부(주심 김재형 대법관)는 애경산업·SK케미칼이 공정위를 상대로 낸 시정명령·과징금납부명령 취소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고 10일 밝혔다.



공정위는 2018년 3월 가습기살균제를 제조·판매하면서 표시광고법을 어긴 애경산업과 SK케미칼 측에 시정·공표명령과 함께 각각 8300만 원과 78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주요 성분에 독성이 있고 흡입하면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는 정보를 은폐·누락·축소하고 ‘천연 솔잎향의 삼림욕 효과’ 등 제품 일부 성분의 긍정적인 효과만 강조해 마치 인체에 유익한 것처럼 기만적인 표시행위를 했다는 이유에서다.

관련기사



처분에 반발한 애경산업과 SK케미칼은 소송을 제기했고, 서울고법은 두 업체의 손을 들어줬다. 두 업체가 문제의 가습기살균제 제품 생간을 중단한 시점이 2011년 8월 말이고, 그 다음 달에는 기존 제품을 적극적으로 수거하기 시작했으므로 공정위의 처분은 제척기간(권리의 존속 기간)인 ‘위반행위 종료일로부터 5년’을 지나 이뤄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법원은 애경산업과 SK케미칼의 위반 행위가 종료되는 시점을 다시 따져봐야 한다며 판단을 달리 했다. 2012년 3월 개정된 공정거래법은 위반행위 종료일로부터 5년이던 기존의 제척기간을 조사개시일로부터 5년 또는 행위종료일로부터 7년으로 바꿨는데, 두 업체의 위반 행위가 개정 공정거래법 시행일(2012년 6월) 이후에 끝났다면 새로운 제척기간이 적용되므로 공정위 처분이 유효할 수 있다는 것이 대법원의 설명이다.

대법원은 “공정위가 조사에 착수한 시점 전후에 걸쳐 위반 행위가 계속된 때는 그 위반 행위가 종료된 시점에서야 비로소 ‘최초로 조사하는 사건’이 된다”며 “공정거래법이 정한 조사개시일은 ‘위반 행위 종료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시했다.

아울러 대법원은 표시광고법을 위반한 상품이 유통될 수 있는 상태가 계속되는 이상 상품 수거 등 시정 조치가 완료될 때까지 위법 상태가 계속된다고 했다. 위법 상태가 끝나는 때는 ‘생산 중단’이나 ‘적극적으로 수거하기 시작한 시점’이 아니라 시중에서 문제의 상품이 모두 사라져 소비자가 더는 피해를 보지 않는 ‘위반 행위 종료일’이라는 것이다.

대법원은 애경산업과 SK케미칼이 2011년 8월 말부터 표시광고법을 위반한 가습기살균제를 생산·유통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이후에도 제3자에 의해 유통된 적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원심(서울고법)으로서는 제품의 유통량과 유통 방법, 수거 등 조치 내용과 정도, 소비자의 피해에 대한 인식 정도와 피해 회피의 기대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표시행위를 시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가 언제 완료됐는지 사회통념에 비춰 판단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성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