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우상호 "尹 특사, 바이든 만남 불발…외교참사"

"외교적 박대 당한 것…창피하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 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 연합뉴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윤석열 당선인 측의 한미정책협의대표단이 방미 기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을 만나지 못한 것을 두고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을 생각해볼 때 어이없는 외교 참사"라고 일갈했다.

우 의원은 11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상당히 외교적으로 문전박대를 당한 것이다. 대한민국 외교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우 의원은 한미정책협의대표단을 특사라고 주장하며 "이런 식의 특사 방문은, 나중에 진상이 밝혀져야 하겠다만 상당히 어이가 없는 일이다. 박진 단장이 해명해야 할 문제"라며 "어쨌든 외교적으로는 대단히 창피한 일을 당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그는 박 의원이 바이든 대통령을 만나지 못한 배경에 대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사전에 저쪽(미 백악관)하고 약속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발했을 가능성이 있고 그러면 그쪽에서도 ‘아니, 약속도 안 잡혔는데 그냥 와서 밀고 들어오나?’ 이럴 수 있고, 지금 우크라이나 사태로 미국 외교가 아주 바쁘다”며 “또 하나는 약속을 할 가능성을 암시 받고 갔는데 문전박대를 당했거나 한 것인데, 이건 상당히 심각한 문제다. 약속이 안 됐는데 보여주기식으로 일단 가서 끼어 들어 가야지 했는데 안 된 경우”라고 설명했다.

그는 "만약 일정을 조율하고 갔는데 그것이 거절된 것이면 심각한 외교 문제"라며 "조율이 잘 안 돼서 현지에서 그냥 5분이라도 (면담 일정에) 넣으려고 갔다면 이것은 우리 쪽의 미숙함"이라고 꼬집었다.

앞서 박 의원을 단장으로 한 한미정책협의대표단은 지난 3일 미국에 도착해 20여개의 공식 일정을 수행하며 백악관, 국무부, 국방부, 상무부 등 행정부와 의회, 싱크탱크 인사들을 만났다.

다만 이 과정에서 박 의원은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비롯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을 만나지 못했고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과 만나 윤 당선인의 친서를 전달하고 돌아왔다.


김지선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