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크롬북 시장 빠르게 꺾였다…팬데믹 바람 탔던 PC 붐 꺼지나

1분기 PC 출하량 7.3% 감소

크롬북 제외하면 3.3% 성장

HP, 레노버 각각 17%, 12% 감소

아수스, 애플, 델은 성장세

칩 공급난에 인플레 압력까지 수요 위축

지난 4일 폴란드로 탈출한 우크라이나 청소년이 노트북을 이용하고 있다. /EPA연합뉴스지난 4일 폴란드로 탈출한 우크라이나 청소년이 노트북을 이용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올 1분기 PC 출하량이 급속하게 꺾이면서 코로나 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탄력을 받았던 ‘PC 붐’이 끝나간다는 분석이 나왔다. 원격 교육 수요를 이끌었던 크롬북 시장의 감소세가 PC시장 부진에 주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11일(현지 시간) 글로벌 시장 분석 업체 가트너는 “올 1분기 전세계 PC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7.3% 감소한 7750만 대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특히 구글 크롬북 판매량 감소가 크게 떨어져 전체 시장 위축에 영향을 줬다”고 발표했다. 실제로 통계에서 크롬북을 제외하면 PC 시장은 올 1분기 3.3%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크롬북의 주 제조사인 HP와 레노버는 출하량이 전년 대비 각각 17.8%, 12.6% 감소해 타격을 크게 입었다. 크롬북은 구글 운영체제를 탑재한 저가형 노트북이다. 코로나 시대에 원격 교육용으로 PC 시장 수요를 이끌었지만 기능이 한정된 점 때문에 수요가 위축된 것으로 분석됐다. 기타가와 미카코 가트너 리서치 총괄은 “팬데믹 이후 미국 내 교육 수요가 커지면서 유례 없이 급성장했던 크롬북 성장세가 꺾였다”며 PC와 크롬북 시장을 통틀어 어려운 분기였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올 1분기 제조사별 PC 출하량 추이 /사진 제공=가트너올 1분기 제조사별 PC 출하량 추이 /사진 제공=가트너


다만 상당수 회사들이 직원들의 사무실 복귀를 추진하거나 하이브리드 근무 체제(출근과 재택 근무 병행)로 돌아서면서 비즈니스용 PC 시장은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크롬북 의존도가 낮고 비즈니스용 PC 비중이 높은 아수스(ASUS)는 20.6% 성장해 가장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이어 애플(8.6%), 델(5.0%)도 호조를 보였다.

PC 판매량은 지난해 15% 성장하며 2012년 수준을 회복했다. 하지만 팬데믹 효과가 사라지고 있는 데다 반도체 칩 공급난까지 겹쳐 PC 판매 붐에 찬물을 끼얹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인플레이션도 수요 위축의 요인이다. 기타가와 총괄은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수요가 무너졌을 뿐만 아니라 유럽·중앙아시아·아프리카(EMEA) 시장의 18%를 차지하는 동유럽 시장의 수요도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고 전했다.

실리콘밸리=정혜진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