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吳 "녹지생태도심 개념 도입…빌딩숲과 나무숲 공존할 것"

[吳, 취임 1주년 기자 간담회]

"직주근접 녹지 생태 도심 개념 도입…조만간 방법론 발표"

높이 제한 풀고 용적률 완화해 남는 땅 녹지공간으로 탈바꿈

용산도 녹지생태도심으로…서울 녹지비율 10%대 목표

공공주택 면적 1.5배 늘리고 고급자재 사용…이미지 개선할 것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 간담회에서 출입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 간담회에서 출입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 도심에 빌딩숲과 나무숲이 공존하는 녹지공간을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빠른 시일 내 녹지생태도심 개념의 새로운 도심 프로젝트를 구체화홰 발표하겠다고도 약속했다.

12일 오 시장은 서울시청에서 취임1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어느 나라든 구도심을 개발해서 쾌적한 업무공간을 만드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데, (서울시도) 주거공간까지 함께하는 직주근접 녹지 생태 도심 개념이 도입될 예정”이라며 “1km 상공에서 지역을 내려다보고 사진을 찍으면 다 초록빛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빌딩숲과 나무숲이 공존하는 그런 형태의 녹지공간을 도심 곳에서 구현하겠다”며 “높이 제한을 풀고 용적률을 완화해서 남는 땅을 녹지공간으로 만드는 등 구체적인 방법론이 제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대규모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용산 일대를 녹지생태도심으로 변모시키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앞으로 만들어질 용산국제업무지구도 녹지생태도심이 될 수 있도록 설계하겠다"며 “런던과 뉴욕 녹지면적이 15~25%다. 서울은 공원면적까지 합해서 7~8%인데 녹지비율이 10%대가 될 수 있도록 도심에 푸른 공간을 늘리는 구상을 구체화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청와대가 개방되면서 생긴 공간에 대한 구상도 언급했다. 오 시장은 “청와대 개방을 기점으로 시민들에게 편의성과 쾌적함, 행복함을 느낄 수 있는 도심공원이 될 수 있도록 계획을 만들고 있다”며 "과거에 백악산, 북악산, 인왕산 기슭에서 물이 흘러 청계천, 한강으로 이어졌다. 그런 모습도 구상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구도심 지역인 율곡로 일대 사업도 올 하반기 중 완성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율곡로 사업이 올 하반기 완성되고 거기에 이어서 율곡로부터 퇴계로 등 구도심이 어떻게 바꿀 것이냐가 관건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오 시장은 공공주택의 면적을 현재의 1.5배로 늘리고 고급 자재를 사용하는 등 공공주택 이미지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도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오 시장은 “면적을 현재보다 1.5배 늘려 공공주택은 작고 불편하다는 인식을 불식시키겠다”며 “기자재나 설비, 인테리어 제품을 중소기업 제품만 쓰도록 법규상 제한이 있는데 과감히 탈피해서 작지만 알찬 주택, 고급스러운 주택이라는 이미지가 생겨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중산층 이상의 시민들을 위해 신규주택을 충분하게 공급해 주택공급선순환체계가 자유시장경제에서 원활하게 돌아가게 하겠다”며 “자산을 형성하기에 부족한 재원을 가진 서민들에게는 토지임대부 분양주택과 지분적립형 주택 등 공급형태를 중앙정부와 최대한 협업해서 공급하겠다”고도 언급했다.


양지윤 기자·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