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주노총 조합원 6000여명 종묘공원 집결…대규모 집회 강행

민주노총, 윤석열 당선인 당선 후 첫 대규모 집회 강행

법원 결정 반발·경찰 해산 명령 불응하고 집회 이어가

경찰력 4000여명 투입…물리적 충돌 발생하지 않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13일 서울 종로구 종묘공원에서 대규모 집회를 벌이고 있다. 맞은편 세운상가 앞에 경찰 병력이 배치돼 있다. 박신원 기자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13일 서울 종로구 종묘공원에서 대규모 집회를 벌이고 있다. 맞은편 세운상가 앞에 경찰 병력이 배치돼 있다. 박신원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종묘공원에서 윤석열 대통령당선인 당선 이후 처음으로 대규모 집회를 벌였다. 서울행정법원은 12일 민주노총의 집회 장소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 사무실 인근 한 곳으로 제한하고 집회 시간도 오후 1시부터 1시간만 허용했다. 그러나 민주노총은 법원의 결정에 반발해 서울 종묘공원에서 약 6000여명이 집결한 집회를 강행했고 현장에서 경찰의 해산명령이 이어지는 등 긴장감이 고조되기도 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3시부터 ‘차별 없는 노동권, 질 좋은 일자리 쟁취’ 결의대회를 진행했다. 이날 집회 직전까지 본집회 장소가 공개되지 않았으나 오후 1시 20분께 지도부가 집회 장소를 공지하자 조합원들은 일제히 종묘공원으로 집결했다. 민주노총 측은 “윤석열 당선자와 인수위, 여당인 국민의힘의 친재벌 반노동 기조와 정책을 반대한다”며 “윤석열 당선자가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날 민주노총의 집회 시간과 장소, 규모 등은 애초 법원이 허용한 범위를 넘어서 사실상 불법 집회라는 논란도 불거졌다. 앞서 법원은 이날 오후 1시부터 2시까지 경복궁 고궁박물관 남쪽 1개 차로에서 주최자 포함 299명이 참석하는 범위에서 집회를 진행하도록 허가했다. 아울러 다른 공간과 집회 장소가 명백히 분리돼야 하고, 집회 참석자들은 간격 2m 이상 거리를 두고 KF94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며, 일반 보행자와 접촉하지 않고, 집회가 종료되면 차례대로 해산할 것 등을 명시했다. 그러나 민주노총은 법원의 이번 결정을 두고 “헌법에 보장된 집회·시위의 자유가 정치방역에 의해 금지되는 상황에 대한 법원의 판단에 의미를 두면서도 생색내기에 그쳤다”고 반발하며 애초 계획대로 결의대회를 진행했다. 이날 집회 현장에서 조합원들이 밀접하게 붙어앉는 모습이 연출됐고, 현장에는 약 6000여명의 대규모 인원이 몰려 종로 일대 교통상황에 혼잡이 빚어지기도 했다.

관련기사



민주노총이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종묘공원에서 결의대회를 연 가운데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남명 기자민주노총이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종묘공원에서 결의대회를 연 가운데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남명 기자


현장에서 경찰은 방송을 통해 집회 해산을 경고했으나 시위대는 명령에 불응하며 긴장감이 고조됐다. 다만 경찰과 집회 참여자들 간 직접적인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경찰은 “자진해산 요청에도 불구하고 금지된 집회를 계속 하고 있다”며 “해산하지 않으면 경찰력을 투입해 직접 해산조치를 취하겠다. 지금 즉시 해산할 것”이라고 지속 명령했다. 경찰의 반복된 해산명령에도 불구하고 시위대는 해산 움직임 없이 현장에 자리해 집회를 이어갔다.

경찰은 집회 장소가 공지된 이후 오후 1시 40분부터 종묘공원 인근에 차벽을 설치했다. 경찰은 시위 장소가 공개되지 않은 이날 오전 8시 30분께부터 세종대로와 율곡로, 종로1가에 경찰 차량 수백대를 동원해 차벽을 줄세웠다. 인수위 인근과 광화문 광장 곳곳에는 바리케이트도 설치됐다. 종로구 서린동 일대와 구세군회관까지 동서구간으로 차벽이 늘어섰고 집회 장소로 유력했던 청계광장 인근에는 경찰 수백여명이 배치됐다. 그러나 민주노총은 애초 집회를 신고했던 인수위 앞이 아닌 종묘공원에서 집회를 진행해 방패를 든 경찰이 급하게 집회 장소로 이동하며 삼엄한 풍경이 연출됐다. 이날 종로구 일대에 투입된 경찰력은 약 4000여명이다.

민주노총은 이날 결의대회에서 △차별없는 노동권, 안전한 일터 보장 △질 좋은 일자리 보장 △선택적 근로제 등 노동시간 연장 반대 △최저임금 차등 적용 반대 및 대폭 인상 △불평등 양극화 타파 등을 요구했다.


박신원 기자·김남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