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노동행정엔 드라이브…윤리경영성과 부족했던 이정식

노발재단 재임 시절, 고용부 경영평가

이사회 강화·채용 제도 개선에 주력

부패방지 등 노력했지만 평가 '미흡'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강남구 고용노동부 서울강남지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강남구 고용노동부 서울강남지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는 노동계 출신답게 과거 공공기관을 이끌면서도 이사회 기능을 강화하는 등 노동계가 바라는 행정에 주력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직 내부 비위 척결 등 상대적으로 윤리경영 능력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평가가 뒤따른다. 4일로 예정된 이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는 이 같은 공공기관장으로서 평가를 두고 여야의 공방이 이뤄질 전망이다.



19일 고용노동부가 2018년 노사발전재단 등 6개 기타공공기관의 경영실적을 평가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2017년 4월부터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을 역임하면서 이사회 기능을 크게 강화했다. 우선 이사 정수는 2017년 15명에서 이듬해 18명으로 늘렸는데, 4명을 새 여성 이사로 채웠다. 이사회 개최건수도 2017년 1회에서 2018년 5회로 확대됐다. 통신 이사회가 강화되면 기관장의 견제기능을 높이는 동시에 근로자 참여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노동계가 민간 기업에서 이사회 기능 강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한 배경이다. 이 후보자가 노동계 출신 최초로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을 맡았다는 점에서도 이사회 강화는 예상할 수 있던 변화다.

관련기사



특히 이 후보자는 내부 채용비리 문제에 메스를 댔다. 2018년 채용 전 과정을 개선해 서류전형의 경우 1명 이상, 면접전형의 경우 절반 이상을 외부 위원으로 채웠다. 심사위원을 회피할 수 있는 제도도 이 때 신설됐다.

하지만 윤리경영 성과는 당시 조직 변화에 비하면 뚜렷하지 않았다. 이 후보자는 청렴윤리경영위원회를 7명에서 10명으로 확대했고 운영 횟수도 반기별 1회에서 매월 1회로 늘렸다. 2019년부터 노조위원장의 참여도 검토했다. 그러나 고용부가 실시한 노사발전재단의 부패방지 시책평가를 보면 2017년에 이어 2018년에도 미흡을 받았다. 보고서를 통해 매겨진 윤리경영을 위한 성과등급도 D+에 그쳤다. 그 결과 윤리경정 종합점수는 노사발전재단을 비롯해 6개 경영평가 기관 가운데 꼴찌다. 고용부는 보고서를 통해 "부패사건을 일으킨 공직자가 외부기관으로부터 적발됐다"며 "청탁금지 제도 활성화 실적 등이 미흡했다"고 설명했다.

내달 4일 개최 예정인 이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는 당시 노사발전재단의 방만 운영, 사내 성추행 사건 대응 등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