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구자은 LS그룹 회장 첫 현장경영 “에너지 솔루션기업으로 도약”

해저케이블 포설선 ‘GL2030’

동해항 찾아 취항식 처음 참석

具 “신재생 전송 등 기여할 것”

구자은(오른쪽 두 번째) LS그룹 회장이 21일 LS전선 동해사업장을 방문해 현장에서 직원의 보고를 받고 있다. 사진 제공=LS그룹구자은(오른쪽 두 번째) LS그룹 회장이 21일 LS전선 동해사업장을 방문해 현장에서 직원의 보고를 받고 있다. 사진 제공=LS그룹




구자은 LS(006260)그룹 회장이 강원 동해항에서 포설선 사업을 챙기는 행보로 취임 후 첫 현장 경영을 펼쳤다.

구 회장은 21일 LS전선 공장이 있는 동해항에서 해저케이블 전용 포설선 ‘GL2030’ 취항식에 참석, 동해시 관계자들과 임직원들을 격려했다. 구 회장이 외부 사업 현장을 찾은 것은 올 1월 취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취항식에는 구 회장을 비롯해 명노현 LS 대표, 구본규 LS전선 대표, 김상영 동해시 부시장, 김기하 동해시의회 의장, 박지현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구 회장은 기념사에서 “LS가 해저 전문 시공 역량까지 겸비한 글로벌 에너지 솔루션 기업이 돼 세계로 뻗어가는 대항해의 닻을 올리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신재생에너지 전송, 효율적 에너지망 구축에 기여해 국가 경쟁력을 한 차원 끌어올리고 지구촌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데 당당히 한몫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LS전선은 국내외 해상풍력사업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해저 전문 시공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GL2030을 건조했다. 이 포설선의 최대 특징은 선박 위치를 정밀 조절·제어하는 시스템을 장착했다는 점이다. 케이블 포설의 정확성을 높이고 바람·파고 등 기후변화에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설계했다.

GL2030은 당장 다음 달부터 한 달간 전남 해남군 화원면과 신안군 안좌도 사이의 약 7㎞ 구간을 해저케이블로 잇는 작업에 투입된다. 서남해 해상풍력발전소의 전력을 육지로 보내기 위한 사업이다.

LS전선은 지난 3년간 아시아권에서 총 8000억 원 규모의 해상풍력용 해저케이블 공급권을 따냈다. 올 초에는 북미에서도 3500억 원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LS그룹은 GL2030을 해외 사업까지 투입할 경우 더 큰 성과를 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S전선 관계자는 “그동안에는 해외에서 포설선을 대여하는 바람에 일정 조율 등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포설선을 직접 운영하게 되면 공기 단축, 시공 노하우 축적, 전문성 강화 등의 효과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