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文정부 출범 후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기 3배 어려워져

올해 4월 서울 매매·전세 차이 6억 원

강북은 5년 동안 매매·전세 격차 320.6% 상승

2017~2022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전세 가격. KB부동산·경제만랩2017~2022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전세 가격. KB부동산·경제만랩




지난 5년 동안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 차이가 3배 이상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에 따르면 올해 4월 서울 평균매매가격은 12억 7722만 원, 전세가격은 6억 750만 원으로 차이가 6억 원 수준이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 당시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격(6억 708만 원)과 평균전세가격(4억 2619만 원) 차이는 1억 8090만 원에 불과했지만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급등하면서 차이가 3배 이상 벌어진 것이다. 이 기간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110.4% 상승했지만 전세가는 58.5% 오르는데 그쳤다.



서울에서는 한강 이북 14개 자치구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격차 상승률이 높았다. 2017년 5월 강북 아파트 매매가는 4억 5864만 원, 전세가는 3억 5098만 원으로 격차는 1억 766만 원이었다. 하지만 2022년 4월에는 매매가 10억 1128만 원, 전세가 5억 5846만 원으로 가격 차이는 4억 5282만 원이었다. 2017년 대비 320.6% 상승했다.

관련기사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서울 똘똘한 한 채의 영향이 커지면서 매매가격이 크게 올랐다”며 “전세로 거주하다 내 집 마련을 하겠다고 생각했던 사람들은 이젠 전세를 유지하기도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