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물가에 중소기업 월급 2년째 '제자리'

고용부,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 보니

실질임금 339만원…고작 5만원 올라

경기도 내 시화공단의 한 자동차 부품업체에서 공장 책임자가 텅빈 공장을 정리하고 있다.이호재 기자경기도 내 시화공단의 한 자동차 부품업체에서 공장 책임자가 텅빈 공장을 정리하고 있다.이호재 기자




대부분 중소기업인 300인 미만 근로자 사업장의 실질임금이 2년째 제자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 탓에 월급이 올라도 살 게 없다는 말이 틀린 게 아니라는 것이다.



2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300인 미만의 올해 1~2월 월평균 실질임금은 339만2000원이다. 작년 같은 기간 335만2000원과 비고하면 불과 5만원 차이다. 2020년 328만9000원과 비교해도 10만원 올랐다.

관련기사



실질임금은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임금이다. 명목임금이 오르더라도 물가 인상을 고려한 실질임금이 오르지 않으면 임금이 동결됐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300인 미만 월평균 명목임금 추이를 보면 올해 1~2월은 356만2000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9% 올랐다. 하지만 실질임금으로는 ‘5만원’ 오른 것이다.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중소기업 보다 임금 인상폭이 가파르다. 3년간 1~2월 월 평균 실질임금 추이를 보면 올해는 710만8000원, 2021년은 644만9000원, 2020년은 612만9000원이다. 2년 만에 100만원 가량 올랐다.

우려는 앞으로 물가가 더 오른다는 점이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10년 3개월 만에 4%대를 넘었다. 이로 인해 이미 상당히 벌어진 대·중소기업의 임금 양극화도 심해질 전망이다. 1~2월 300인 이상 명목임금은 전년 동기 대비 14.2% 오른 746만3000원을 기록한 반면 300인 미만은 356만2000원으로 4.9% 증가에 그쳤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