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글로벌 What] 석탄 ‘재평가’ …中, 57조 규모 천문학적 '특별 대출'

■다시 떠오르는 석탄

"우크라사태로 에너지 안보 위협"

脫탄소서 유턴, 대대적 금융지원

지난달엔 석탄제품 면세 조치도

폭스바겐, 火電 가동시기 연장

친환경 앞장 유럽도 '퇴출' 미뤄

중국 장쑤성 난징에 있는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수증기가 나오고 있다. AP연합뉴스중국 장쑤성 난징에 있는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수증기가 나오고 있다. AP연합뉴스




석탄이 다시 떠오르고 있다. 석탄은 다른 화석연료보다 온실가스를 더 많이 내뿜어 탄소 중립의 최대 장애물로 꼽혔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완화로 산업 경기가 되살아나자 석탄 수요도 덩달아 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천연가스 등 다른 에너지원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친환경 흐름을 주도하던 유럽마저 석탄을 다시 찾는 모양새다. ‘더럽지만 발전 능력이 좋은’ 석탄이 에너지 안보 확보의 주요 수단으로 주목받는 것이다.



세계 온실가스 1위 배출국인 중국은 2년 전 ‘2060년 탄소 중립 달성’을 공개 선언했지만 자국 석탄 산업에 대한 대규모 금융 지원에 나섰다. 5일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날 석탄 업계의 ‘특별 재대출’ 한도를 기존 2000억 위안에서 1000억 위안 더 늘린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재대출 한도는 총 3000억 위안(약 57조 원)으로 크게 확대됐다. 이번 조치로 중국 석탄 기업에 대출해준 현지 은행은 인민은행으로부터 대출액만큼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최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지표를 중요시하는 해외 금융권이 석탄에 대한 투자를 꺼리는 점을 감안하면 신규 자금이 필요한 중국 석탄 업계의 숨통을 틔우는 효과가 있다고 매체는 전망했다.

관련기사





인민은행 측은 “최근 국제 정세 급변으로 인한 세계 에너지 가격 불안정성은 중국의 에너지 안보와 안정적 경제 운영에 큰 도전”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황에서 중국 전력의 60%를 차지하는 석탄의 안정적 공급이 위협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위기감이 녹아 있는 대목이다. 특히 지난해 여름 석탄 부족으로 중국이 심각한 전력난을 겪었던 뼈아픈 경험도 이번 조치에 한몫을 했다. 중국은 이번 조치에 앞서 지난달 말에도 중국 관세 당국이 수입 석탄 제품에 붙는 3~6%가량의 관세율을 일시 면제한다고 발표하는 등 석탄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글로벌 탄소 중립 흐름을 주도하는 유럽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친환경 전기자동차 전환에 나선 독일 완성차 업체 폭스바겐은 차 생산에 쓰이는 전력 공급을 위해 현재 사용 중인 석탄발전소의 가동 시점을 연장할 계획이다. 헤르베르트 디스 폭스바겐 최고경영자(CEO)는 미 CNBC와의 인터뷰에서 “독일 볼프스부르크시에 있는 생산 공장의 열 공급 방식을 석탄에서 가스 증기 터빈 방식으로 대체할 예정이었지만 현재 이 계획은 잠정 중단된 상태”라며 “언제까지가 될지는 알 수 없으나 석탄발전소를 더 돌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서방 제재를 명분으로 유럽에 대한 가스 공급을 언제든 차단할 수 있는 상황에서 석탄발전소를 가스발전소로 교체하기는 현실적으로 무리라는 의미다. 유럽이 대(對)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연말까지 러시아산 가스 수입을 종전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일 계획이라는 점도 변수로 작용했다.

이런 현상들은 세계적인 ‘석탄 재부상'의 단면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년 뒤인 2024년까지 석탄 소비량이 증가하고 석탄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역시 같은 기간 최소 30억 톤 이상 늘어난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CNBC는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위기와 에너지 시장 급변으로 ‘석탄 퇴출’이 지연될 것”이라고 논평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