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어버이날 앞둔 쪽방촌 가보니] "찾아오는 자식 없지만…이웃이 가족이죠"

가족과 연 끊긴 주민들 많아

이웃들과 돈독한 관계 형성

"새 가족 만들어 서로 챙겨요"

어버이날을 이틀 앞둔 6일 서울 종로구 쪽방촌 방에서 주민이 TV를 시청하고 있다. 이호재 기자어버이날을 이틀 앞둔 6일 서울 종로구 쪽방촌 방에서 주민이 TV를 시청하고 있다. 이호재 기자




“자식들이 있긴 한데 어버이날이라고 오지는 않을 거예요. 대신 이웃들이랑 얘기하고 지내야죠.”(주민 안홍식 씨)



“여기는 가족이 없는 사람들이 많아요. 찾아오는 사람도 없고 가족이랑 연이 끊어져 다들 혼자죠.”(주민 이정자 씨)

어버이날을 이틀 앞둔 6일 서울 종로구 돈의동에 위치한 쪽방촌 일대는 여느 때처럼 차분했다. 인근 종로3가 탑골공원이나 익선동 카페거리의 북적대는 분위기와 대조를 이뤘다. 한 평 남짓의 쪽방이 다닥다닥 이어진 이곳에서 주민들은 골목을 거닐며 서로 안부를 묻고 키우는 강아지를 쓰다듬으며 웃음꽃을 피웠다.



쪽방촌에 사는 주민들은 찾아오는 가족이 없어 어린이날과 어버이날 같은 징검다리 연휴도 별로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골목 앞에서 만난 주민 박 모(80) 씨는 “애들이 있지만 안 온 지 좀 됐다. 다들 그렇게 사는 것 아니겠냐”며 “손자랑 손녀도 있는데 용돈 주기도 힘들어 차라리 안 오는 게 낫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골목에서 주민들과 정겹게 이야기를 나누던 주민 안홍식(76) 씨는 “자식들이 있지만 연휴에 오지는 않을 것 같고 혼자 있을 예정”이라며 “딱히 연락도 하지 않고 다들 알아서 잘살고 있겠거니 생각하는 거다”라고 털어놓았다. 인근에서 마주친 박수진(74) 씨도 “딸이 하나 있는데 결혼한 이후에는 안 보고 있다”며 “연락이 끊긴 지 오래라 이제는 굳이 연을 이어갈 필요도 없는 것 같다”고 했다.

쪽방촌 주민들 중에는 열악한 가정환경, 노숙, 전과자 등의 배경을 가진 이들이 많다. 쪽방촌에 오기까지의 경험으로 기존 가족과는 연이 끊긴 이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주민들은 쪽방촌 이웃들과 돈독한 유대감을 쌓으며 새로운 가족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이날 쪽방촌 골목에서는 주민들이 삼삼오오 모여 대화를 나눴다. “오늘은 꼭 집에 제때 들어오라”거나 “함께 동네를 걸으며 운동을 한다”며 서로를 챙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주민 안 씨는 “동네 사람들과 대화도 많이 하고 친하게 지내서 치매도 안 걸린다”면서 “코로나에 걸리거나 건강이 안 좋아졌을 때도 서로 챙겨준다”고 말했다.

쪽방촌 주민들은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로 야유회 개최나 스마트폰 교육, 인문학 강의 등 바깥 활동에 참여할 기회가 늘어난 것에 다소 들뜬 모습이었다. 최선관 돈의동 쪽방상담소 실장은 “코로나19 전에는 주민들끼리 야유회를 가기도 했는데 지난 2년간은 그런 것들이 뜸했다”면서 “거리 두기가 해제돼 주민들에게 다시 야유회를 가자고 말하니 반응이 아주 좋았다”고 설명했다.

최 실장은 “열악한 가정환경에서 자라는 등 힘들게 살아온 분들이 많지만 서로 챙겨주고 교류하며 이곳만의 커뮤니티를 만들고 있다”며 “코로나19 이전에는 각자 음식을 하나씩 들고 와 식사를 함께하는 자리도 많았는데 앞으로 그런 교류가 다시 늘어날 거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신원 기자·이건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