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동훈 “검찰 정보 부서 필요”…수정관실 부활하나

검찰총장 ‘눈·귀’ 수정관실 개선 예고

“검수완박, 위헌 견해 유력…국민 피해”

“신뢰 회복 위해선 정치 권력에서 독립”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15일 오전 후보자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 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15일 오전 후보자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 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검찰총장의 ‘눈과 귀’로 불리는 대검찰청 수사정보담당관실(수정관실)을 부활 시켜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한 후보자는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에서 수정관실 폐지에 대해 “대검의 수사 정보수집 부서를 폐지하면, 부패·경제 범죄 등에 대한 검찰의 직접수사 기능이 형해화될 우려가 있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법무부 장관으로 취임한다면 대검 정보수집 부서의 순기능을 살리면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바람직한 조직개편·제도개선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대검 수정관실은 문재인 정부 들어 검찰개혁의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축소됐으며, 윤 당선인이 검찰총장으로 재직할 때 판사 사찰 논란, 고발 사주 의혹 등이 불거지면서 정보관리담당관실로 개편되며 사실상 폐지 수순을 밟았다.

관련기사



한 후보자는 검·경 수사권을 완전 분리한 뒤 검찰청을 공소청으로 바꾸는 방안에 대해선 “헌법상 검사의 영장청구 규정은 검사의 수사권을 전제한 것이 명백하기에 위헌 견해가 유력하다고 알고 있다”며 “실무적으로도 대안 없이 검찰 수사권을 박탈하면 결과적으로 국민이 큰 피해를 보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했다.

검찰이 국민의 신뢰를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지를 묻자 “정치 권력으로부터 독립해야 한다”며 “검찰이 좌고우면하지 않고 법과 원칙에 따라 공정하게 수사할 수 있는 제도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형사사법기관과 언론 간 유착 관계에 대한 의견을 묻자 “형사사법기관의 업무수행도 국민의 알권리와 조화가 될 필요가 있다”면서 “다만 유착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원론적으로 답했다.

이른바 ‘전관예우’ 문제 해결 방안으로는 “수임·변론부터 사후 감시 및 징계단계까지 모든 단계에서 전관 영향력 행사를 차단하기 위한 변호사법 개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라며 “지속적인 제도 개선 노력과 함께 사건 담당자의 전관 사건에 대한 투명하고 공정한 처리 의지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법무부 장관의 역할을 묻자 “정의와 상식이라는 가치에 어울리는 법치주의 확립과 정치적 중립성 보장이 법무부 장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며 “법과 원칙에 따라 공정하게 업무를 처리하고,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오직 국민만을 바라보는 자세와 법치주의를 굳건하게 지켜낼 용기와 헌신이 필요하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이 밖에 윤 당선인이 폐지를 공약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수사 우선권 조항(공수처법 24조)에 대해 “다른 수사기관의 자율성 및 사건관계인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수사 지연을 유발하는 측면이 있는 등 개선해야 될 필요성이 있다”고 의견을 같이 했다.


천민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