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급락장 이겨낸 필수 소비재주…NWL·켈로그·펩시코 오름세 [서학개미 리포트]

글로벌 생활용품·먹거리 기업들

가격전가력 높아 인플레에도 '꿋꿋'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며 뉴욕 증시에서 대부분의 업종이 일제히 폭락한 가운데 세계적인 브랜드를 보유한 필수 소비재 관련주들만 주가를 방어해 눈길을 끌었다. 켈로그(K)·캠벨수프(CPB)·JM스머커(SJM) 등 오랜 전통의 식품 회사들은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9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는 세계적인 생활용품 기업 뉴웰브랜즈(NWL)가 전 거래일 대비 7.92% 오른 24.2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뉴웰브랜즈는 아웃도어 브랜드인 ‘콜맨’과 유아 용품 ‘누크’, 향초 브랜드인 ‘양키캔들’ 등 다수의 생활용품 브랜드를 보유한 대형 기업이다. ‘던킨도너츠’와 과일 잼 브랜드 ‘스머커스’ 등을 보유한 식품 기업 JM스머커와 켈로그·캠벨수프 등 식품 기업들의 주가도 2.5~3.5%씩 올라 52주 신고가를 일제히 새로 썼다. 또 ‘타이레놀’을 파는 존슨앤드존슨(JNJ)과 ‘펩시콜라’의 펩시코 역시 각각 0.54%, 0.76% 상승 마감했다. 이날 나스닥이 전장 대비 524.41포인트(4.29%) 하락한 1만 1623.25로 거래를 마치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역시 132.10포인트(3.20%) 내린 3991.24로 마감해 2021년 3월 말 이후 처음으로 4000 아래로 내려앉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견고한 주가 방어력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관련기사



이들 기업의 공통점은 먹거리와 의약품 등을 제조하는 필수 소비재 기업이라는 점이다. 실제 이날 S&P500지수 내 11개 업종 중 10개 업종이 모두 하락 마감했는데 단 하나, 필수 소비재 업종만이 0.05% 강보합세를 유지했다. 최근 유가가 오르며 가파른 주가 상승세를 보였던 에너지 업종(-8.3%)과 인플레이션 방어주로 주목받았던 부동산 업종(-4.62%) 등이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인 것과 달리 필수 소비재만이 유의미한 주가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플레이션 통제력에 대한 의구심이 확대되며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 것이 미 증시의 급락장과 필수 소비재의 선방을 불러온 원인으로 보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의 보고서 등에 따르면 미국 필수 소비재 업종이 S&P 업종 대비 초과 수익을 기록한 횟수는 지난 20년간 총 8회에 그치는데, 대부분 글로벌 리세션(경기 침체)이나 신종플루, 극심한 소비 시장 부진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시기였다는 것이다.

보유하고 있는 브랜드의 가치가 높아 물가 상승기에도 제품 가격을 꾸준히 올릴 수 있다는 점 역시 이들 기업의 공통점이다. 하재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금처럼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진 환경에서는 원가 상승을 제품 가격으로 전가할 수 있는 ‘가격 전가력(Pricing Power)’이 높은 기업이 유리하다”며 “미국 증시에서 가격 전가력이 높은 기업으로는 애플이나 코카콜라·코스트코 등 널리 알려진 기업이 많다”고 말했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