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질자원연, 합천 운석충돌구 세계지질공원으로 조성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 세계지질테마공원 조성 등 관광자원화 업무협약 ?

합천운석충돌구의 체계적 조사·연구…관광자원 개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평구(왼쪽) 원장과 이선기(오른쪽) 합천군수권한대행이 합천운석충돌구 관광자원화를 위한 업무협약식을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지질자원연구원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평구(왼쪽) 원장과 이선기(오른쪽) 합천군수권한대행이 합천운석충돌구 관광자원화를 위한 업무협약식을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연구결과를 통해 최초로 밝혀진 한반도 운석충돌구 적중-초계분지가 세계지질공원으로 조성된다. 5만년전의 신비를 간직한 합천운석충돌구를 쉽고 재미있게 만나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과 합천군은 11일 합천군청에서 ‘합천운석충돌구 관광자원화를 위한 합천군-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합천운석충돌구의 지속적인 연구와 지질명소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기관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대암산 정상에서 바라본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 적중-초계분지. 사진제공=한국지질자원연구원대암산 정상에서 바라본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 적중-초계분지. 사진제공=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인 합천운석충돌구는 약 7㎞의 직경을 갖는 독특한 그릇 모양의 지형으로 형성 원인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있었다. 2020년 12월 지질자원연 연구진은 적중-초계분지내의 142m 시추코어 조사와 탄소연대측정을 통해 이곳이 운석충돌로 만들어진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임을 밝혀낸 바 있다.

운석이 충돌할 때는 강한 충격파가 일어나 지하에 거대한 웅덩이를 형성한다. 이 때 발생한 충격파의 영향으로 기존 암석과 광물 속에 충격변성에 의한 흔적(shock-metamorphic effects)이 남는다. 이러한 흔적에 대한 암석학·지구화학적 변형구조 추적으로 과거에 운석충돌이 있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었다.

양 기관은 앞으로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의 지속적인 조사·연구와 협력을 강화해 이 지역을 ‘세계지질테마공원’, ‘합천운석충돌구 지질명소’ 등 세계적 명품 관광자원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합천운석충돌구를 주도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임재수 박사는 “무섭고 어렵게만 느껴지는 운석충돌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후속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며 “누구나 재밌게 즐길 수 있는 세계적인 명품 지질 테마파크를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질자원연 이평구 원장은 “이번 협약은 5만년의 비밀을 간직한 한반도 운석충돌구 연구의 새로운 출발점이자 연구기관·지자체간 협력 모델이 될 것”이라며 “KIGAM의 연구역량을 통해 지구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지구과학문화대중화 확산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