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화솔루션 '韓·美 태양광 밸류체인' 구축…3800억 들여 셀·모듈 공장 신설

국내서 탑콘 셀 라인 구축하고

美엔 1.4GW 모듈 공장 조성

한화솔루션 연구원들이 태양광 셀 품질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화솔루션한화솔루션 연구원들이 태양광 셀 품질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화솔루션




한화솔루션이 한국과 미국에 3800억 원을 투자해 고효율 태양광 시장 공략에 나선다. 전 세계적인 기후위기와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안정적으로 친환경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생산 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솔루션은 독일 뮌헨에서 열린 유럽 최대 태양광 전시회 ‘인터솔라2022’에서 한국과 미국에 약 3800억 원을 투자해 고효율의 탑콘(TOPCon) 셀과 모듈을 생산한다고 12일 밝혔다. 탑콘은 N타입 웨이퍼를 기반으로 생산한 셀에 얇은 산화막을 삽입해 기존보다 발전효율을 약 1%포인트 높인 제품이다.



한화솔루션은 국내에 탑콘 기술을 활용한 셀 라인 신설을 위해 약 1800억 원을 투자한다. 국내에서 셀 라인에 투자하는 것은 2017년 이후 5년 만이다. 이번 투자로 한화솔루션은 국내 최대 규모인 5.4기가와트(GW)의 셀 생산량을 확보하고 내년 상반기부터 탑콘 셀을 생산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미국에 2000억 원을 투자해 1.4GW 규모의 태양광 모듈 공장을 건설한다는 계획도 공개했다. 한국에서 생산한 탑콘 셀을 활용해 고효율 모듈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미국 현지에 구축한다.

이르면 2023년 상반기 중 생산에 나설 예정이다. 이번 투자로 회사는 미국에서 기존의 1.7GW를 포함해 미국 내 단일 사업자로서는 최대인 3.1GW의 모듈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이번 셀·모듈 투자와 별도로 한화솔루션은 2025년까지 국내 생산·연구시설에 1조 원을 투자해 고출력의 제품 생산과 라인 전환, 페로브스카이트 기반의 탠덤 셀 연구 등에 투자를 지속할 계획이다. 연구개발(R&D)을 강화하고 최신 생산 시설을 구축해 한국을 고효율의 태양광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글로벌 핵심 기지’로 성장시키겠다는 것이다.

이구영 한화솔루션 대표는 “한국과 미국의 대표적인 태양광 사업자로서 국내에서는 선제적 투자를 통해 기술 기반의 제품을 양산하고 미국에서는 현지산 제품의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양국의 태양광 전지(셀)·모듈 밸류체인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