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기현 "김은혜-강용석, 가급적 한명으로 선거 치렀으면"

"보수층 표 갈라지면 결과 장담 어려워"

"민주당, 성비위 의혹에 진정 반성해야"

6·1지선 9곳 승리가 폭표…"상승 추세"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과 김기현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지방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성형주 기자 2022.05.11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과 김기현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지방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성형주 기자 2022.05.11




국민의힘 6.1 지방선거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맡은 김기현 의원이 경기도지사에 출마한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와 강용석 무소속 후보의 단일화에 대해 “표가 조금이라도 갈려지면 박빙 상태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른다는 생각 때문에 가급적이면 후보가 한 명이 되어서 선거를 치렀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17일 한 라디오(BBS) 방송에 출연해 “아직 구체적으로 단일화 표현을 하기에는 여러가지 논란들이 있어 저희들이 고민해 봐야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큰 틀에서 보수 세력이 경기도지사를 꼭 가져가야만 경기도가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재명 전 지사가 4년 동안 계속해서 경기도가 미래를 위한 발전을 하기는커녕 계속해서 디딤돌로만 사용됐으니 이번에는 조금 협조해주시면 좋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민주당에 이어 정의당에서도 성폭력 폭로가 나온 것을 대해서는 “정치권 전체의 불신이 깊어 질 것 같다”고 우려했다. 그는 “민주당의 경우에는 박원순, 오거돈, 안희정 전 지사를 비롯해서 계속해서 최고 지도부에서 유죄로 확정되거나 사실상 유죄 판결이 나고 있는 그런 상태다. (박완주 의원은) 민주당의 바로 직전 정책위원회 의장을 하신 주요 당직자이셨는데 심각하다”며 “2차 가해 문제 이런 것들이 계속 불거져 나오고 있다. 민주당이 진정으로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왜곡된 성인식을 드러낸 시 구절로 도마 위에 오른 윤재순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에 대해서는 “20년 전 도덕적 기준에 비춰 만들어진 시이고, 공적 활동도 아니라 아주 결격 사유다, 비서관 자리를 박탈해야 한다 그런 상황까지는 아니다”고 밝혔다.

이번 6월 선거에서는 17개 광역지자체 중 9곳에서 승기를 잡는 것이 당의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아주 박빙의 상태에서 열세, 우세 이런 상태로 진행돼 절대 방심할 수 없는 상태”라면서도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초기 컨벤션 효과, 이재명 심판론 등으로 향후 판세는 유리하게 기울고 있다고 낙관했다.

김 의원은 “경기도 같은 경우에도 열세에서 시작했지만 판세가 좋아지고 있다. 충청권에 있어서도 상승 추세”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국회 다수 의석이라는 것을 자신들의 잘못된 무기로 사용을 해서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법 같은 민생하고 아무 관계없이 자신들의 비리를 감추기 위한 여러 행태를 보인다”며 “국민들로부터 야당을 심판해야 한다, 국정 운영의 동력을 줘야 된다는 국민적 인식이 퍼져나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진단했다.

한덕수 총리 후보자와 한동훈 법무부장관 후보자는 결격 사유가 발견되지 않았다며 인사를 정치적 흥정의 대상으로 여기지 말고 협조할 것을 민주당에 촉구했다. 김 의원은 한덕수 후보자의 인준과 관련해 “특별한 결격 사유를 제시해 청문회 과정에서 국민들에게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며 “그런데도 불구하고 마구잡이로 덮어씌우기를 하면서 국무총리 인준안 표결 자체를 안 한다. 반대든 동의든 선택 해달라는 것이 저희들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동훈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하면서 민주당이 완패했다는 것이 일반적이 여론의 판단”이라며 “그런데도 불구하고 무조건 낙마를 시켜야한다고 얘기를 한다. 아무리 살펴봐도 한동훈 후보자 장관 후보자의 결격 사유가 있다고 볼 증거가 단 하나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