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분양가·공사비 갈등에 서울 분양 '안갯속'…상반기 물량 76% '급감'

상반기 분양계획 물량 연초 9734가구→현재 2350가구

분양가상한제·공사비·건설 원자재값 인상 '삼중고'

서울 상반기 분양계획 추이 / 자료제공=부동산 인포서울 상반기 분양계획 추이 / 자료제공=부동산 인포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분양 물량은 연초 계획했던 물량보다 76%가량 적게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이달 기준으로 지난 1월 분양한 물량을 포함한 서울지역 상반기 분양계획 물량은 17개 단지, 2350가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1월 말 계획됐던 24개 단지, 9734가구보다 75.9% 감소한 수치다.



1월 당시에는 둔촌주공 재건축인 둔촌 올림픽파크 애비뉴포레(일반 4786가구)와 동대문구 이문3구역(일반 1067가구), 은평구 센트레빌 파크프레스티지(일반 454가구) 등 정비사업 물량들이 상반기 중 분양을 계획하고 있었다.

관련기사



그러나 현재 이들 물량들은 모두 기약 없이 일정이 미뤄진 상태다. 문제는 서울지역 분양물량의 80% 이상을 재개발, 재건축 등의 정비사업들이 차지하고 있어 하반기 계획된 물량들의 공급도 낙관할 수 없다는 점이다.

최근 서울 분양시장 최대어로 꼽혔던 둔촌주공의 재건축 현장에서 타워크레인 철거 소식이 전해졌다. 공사가 중단되긴 했지만 크레인 철거로 최소 6개월 이상 공사재개는 어렵게 됐다. 둔촌주공은 공사비 증액 문제로 조합과 시공사업단이 갈등을 빚다가 크레인 철수라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이문3구역은 시공사 교체논란이, 이문1구역은 설계변경과 분양가 산정 등의 문제가 불거진 상태다. 센트레빌 파크프레스티지 역시 분양가와 조합내부 문제로 상반에서 하반기로 일정이 미뤄졌다.

정비사업은 일반분양 분양가 산정과정에서 사업주체인 조합과 시공사간 또는 사업주체인 조합과 HUG, 분양가심사위원회 등과의 마찰로 분양이 지연되는 일이 많다. 분양가상한제가 민간택지까지 확대되면서 정비사업 주체들은 사업의 어려움을 호소해 왔다. 여기에 건설 원자재값 인상도 겹치며 공급 차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서울 분양시장이 정비사업 중심으로 몰려 있는데다 현실과 다소 괴리가 있는 분양가상한제 확대 적용에 원자재값 인상까지 맞물려 서울 신규 아파트 공급은 힘든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면서 “결국 서울지역 새 아파트는 희소성이 커지며 가격도 우상향 해 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노해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