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경제 전문가가 꼽은 1순위 리스크는 ‘물가’

인플레·긴축, 발생가능성 크고 영향력도 커

물가 안정·가계 부채·부동산 안정화 시급

서울 한 대형마트의 과자 매대. 연합뉴스서울 한 대형마트의 과자 매대. 연합뉴스




국내외 금융기관 종사자들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가장 요인으로 ‘물가 상승 압력’을 꼽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b·연준)를 포함한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역시 위험 요인으로 선정했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나 긴축으로 인한 금융시스템 위험은 발생 가능성이 클 뿐 아니라 영향력도 큰 만큼 대비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에 따르면 금융기관 종사자 80명 34.2%가 금융시스템 1순위 위험 요인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을 꼽았다. 이외에도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15.2%)’,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11.4%)’, ‘시장금리 급등(10.1%)’ 등이 뒤를 이었다. 위험 순위를 고려하지 않고 5개 위험 요인(복수 응답)을 단순 집계한 조사에서는 ‘물가 상승 압력’이 79.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관련기사



전문가들은 리스크 대부분이 1년 이내 단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특히 물가나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시장금리 급등 등은 발생 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도 크다고 봤다. 반면 가계 부채는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은 크지만 실제 금융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금융시스템 리스크 수준도 높아졌다고 우려했다.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단기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지난해 하반기 조사 때보다 높다고 봤다. ‘매우 높음’ 또는 ‘높음’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12.5%에서 26.9%로 상승했다. ‘낮음’ 또는 ‘매우 낮음’으로 응답한 비중은 38.8%에서 32.1%로 소폭 하락했다.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기 충격 발생 가능성은 ‘매우 높음’과 ‘높음’이 36.1%에서 32.9%로 소폭 떨어졌다.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물가안정, 가계 부채, 부동산 시장 안정화, 금융기관의 자산 건전성 관리 등이 시급한 과제라고 응답했다. 물가는 통화정책 완화 수준 축소에 대해 시장에 분명하고 일관된 신호를 전달하는 등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을 통해 물가 상승세를 억제하고 기대인플레이션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했다. 가계부채는 부동산 시장 안정화 정책과 실수요자 중심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금융여건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증대될 수 있는 만큼 충당금 적립, 자본 확충 등으로 손실흡수 능력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