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배터리 금속 강세장 끝…"니켈 등 3대 핵심 소재 가격 2년간 떨어질 것"

골드만삭스 2년간 하락장 전망

로이터연합뉴스로이터연합뉴스





리튬 등 배터리 핵심 금속의 강세장이 끝났으며 앞으로 2년간은 가격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관련기사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는 29일(현지 시간) 투자 메모에서 “코발트·리튬·니켈 등 3대 핵심 배터리 금속 가격이 향후 2년 동안 하락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골드만삭스는 전기차 대중화에 힘입어 장기적으로는 배터리 소재에 대한 높은 수요가 이어질 것이라며 “투자자들은 배터리 금속이 21세기 세계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충분히 알고 있다”고 전제했다. 하지만 최근의 투자 과열로 인한 공급 과잉이 이들 금속의 가격을 떨어뜨릴 것이라며 “배터리 금속 강세장이 현재로서 끝난 것으로 본다”고 골드만삭스는 평가했다.

이에 따라 현재 톤당 6만 달러 이상인 리튬 가격은 올해 중 5만 4000달러까지 급격히 조정될 수 있고 2023년에는 1만 6000달러까지 폭락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코발트의 경우 현재 톤당 8만 달러에서 거래되지만 내년에 5만 9500달러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되며 니켈은 20%가량 가격 상승 여력이 남았지만 올해 안에 톤당 3만 6500달러까지 올랐다가 하락할 것이라고 골드만삭스는 예상했다.

다만 2024년부터는 재생에너지 산업 발전과 함께 핵심 소재 수요가 급등하면서 다시 공급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통신은 메모를 인용해 “현재의 과잉 공급 단계가 2020년대 후반부 배터리 슈퍼 사이클(장기 호황)의 씨앗을 뿌릴 것”이라면서 가격 또한 상승세로 돌아설 것이라 내다봤다.


장형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