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신한금융, 국내 금융사 첫 ESG 평가모형 개발





신한금융그룹은 30일 국내 금융회사로는 처음으로 환경·사회적책임·지배구조(ESG) 평가모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업의 ESG 수준 평가를 통해 여신과 투자 등 다양한 의사결정에 활용하기 위한 취지다.



이번 ESG 평가모형은 신한금융지주와 신한은행이 공동 개발했다. 기업의 ESG 투자 수준을 평가하는 '신한 ESG 모형'과 해당 투자에 따른 영향과 지속가능 수준을 평가하는 '신한 지속가능 모형' 두 가지다.

관련기사



기업의 전반적인 ESG 수준을 A+등급에서 A-등급을 우수로, B+등급에서 B-등급을 보통으로, C등급을 미흡으로 나눠 총 7개 등급으로 평가한다. 데이터 공개 규모가 비교적 큰 IFRS(국제회계기준)와 외부감사 기업에 대한 평가를 시작으로, 향후 관련 데이터 누적을 통해 비외감 중소기업까지 평가를 확대하도록 모형을 더 정교화 할 계획이다.

신한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ESG 평가모형을 통해 산출된 등급을 '신한 ESG 우수 상생지원대출'의 대상 선정기준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신한금융그룹은 그룹사들이 ESG 평가 결과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신한금융그룹은 지난 3월 금융자산의 탄소배출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금융배출량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 체계적인 ESG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게 은행 측 설명이다.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신한금융지주와 신한은행이 공동 개발한 이번 ESG 평가모형은 기업의 ESG 수준을 데이터에 기반해 정량적으로 평가 가능하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며 "ESG 리딩 금융그룹으로서 탄소배출량 넷제로 달성을 목표로 ESG 실천을 더욱 가속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