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질병청, 원숭이두창 '관심' 경보 발령…오늘부터 대책반 가동

고위험군 위험도 중간·일반인은 위험도 낮아

27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입국장에 독일 프랑크푸르트와 우즈베키스탄발 탑승객들이 검역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승객들 앞에는 원숭이두창 관련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27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입국장에 독일 프랑크푸르트와 우즈베키스탄발 탑승객들이 검역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승객들 앞에는 원숭이두창 관련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원숭이두창의 위험도가 고위험집단과 일반인에 대해 각각 중간·낮음으로 평가됐다. 다만 당국은 원숭이두창의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 단계로 발령했다.



31일 질병관리청은 위기평가회의를 열고 이 같은 결과를 공개했다. 질병청은 “질병자체의 영향력은 낮으나 고위험집단에서 노출될 위험이 높고 일반인에서는 발생가능성이 낮다”며 위험도 평가 배경을 설명했다. 다만 원숭이두창의 국내 유입 가능성이 높아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하는 고시개정을 추진하고 고시 개정 이전에는 신종감염병증후군으로 선제적으로 관리한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의심환자 신고·역학조사·치료기관 지정·격리대응 등의 조치가 이뤄진다.

관련기사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9일(현지 시간) 원숭이두창에 대해 보통위험 수준으로 평가한 바 있다. 보통위험 수준은 총 5단계의 위험평가 중 2단계에 해당하며 △매우 낮은 위험(0단계) △낮은 위험(1단계) △보통 위험(2단계) △높은 위험(3단계) △매우 높은 위험(4단계) 순이다.

질병청은 원숭이두창은 이날까지 31개국에서 473명의 확진자와 136명의 의심자가 보고됐다고 설명했다. 5월 이후 영국·스페인·포르투갈 등 원숭이두창이 풍토병이 아닌 국가에서 이례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해외 원숭이두창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 유입 가능성도 증가해 방역 당국은 대책반을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대책반 가동을 통해 각 나라의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지자체·의료계·민간전문가와 협력을 통해 지역 사회 환자감시 및 의심사례에 대한 대응을 강화할 예정이다.

다만 현재까지 국내 발생 사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국내에서 원숭이두창이 확인된 사례는 없으나 이후 국내에서 원숭이두창 확진자가 확인될 경우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감염병 위기 경보는 관심→주의→경계→심각 등 4단계의 체계로 나누어 적용하고 있다. 관심 단계는 해외 신종 감염병의 발생과 유행시 발령하는 조치다.


김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