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화학, 고려아연 계열사 켐코와 전구체 합작법인 설립

켐코 51%·LG화학 49% 지분 구성

2024년 2분기 양산…연간 2만톤 생산

신학철(오른쪽) LG화학 부회장과 최내현 켐코 대표가 지난달 31일 리사이클 및 전구체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한 후 악수하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신학철(오른쪽) LG화학 부회장과 최내현 켐코 대표가 지난달 31일 리사이클 및 전구체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한 후 악수하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051910)이 배터리 소재 공급망 강화를 위해 고려아연(010130)의 계열사인 켐코(KEMCO)와 리사이클(재활용)·전구체 합작법인을 설립한다.



LG화학은 지난달 31일 서울 논현동 고려아연 본사에서 켐코와 합작법인인 ‘한국전구체주식회사’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신학철 LG화학 부회장과 최윤범 고려아연 부회장, 최내현 켐코 대표가 참석했다.

관련기사



합작법인의 지분율은 켐코 51%, LG화학 49%로 구성했다. 합작법인이 생산할 전구체는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 등을 결합해 만드는 양극재의 중간재다. 양극재 재료비의 70%를 차지한다. 합작사는 울산 온산 산업단지 내에 설립한다. LG화학이 육성하는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용 NCMA 전구체 전용 라인으로 구축한다

두 회사는 2024년까지 20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연간 2만 톤 이상의 전구체 생산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오는 7월 착공해 2024년 2분기부터 제품을 양산, LG화학 청주 양극재 공장에 공급할 예정이다. 2025년 예상 매출 규모는 4000억원이다.

합작법인은 켐코가 공급하는 메탈(금속)뿐만 아니라 스크랩(파쇄 폐기물), 폐배터리에서 추출한 리사이클 메탈도 함께 활용한다. 특히 합작법인의 리사이클 공정은 건식과 습식 공정을 결합해 기존 공정보다 메탈 회수율을 극대화한다. 추출 과정에서 폐수 재활용 등 유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공정을 채택해 글로벌 환경 규제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라고 LG화학은 밝혔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이번 합작은 세계 최고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을 강화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과감한 투자와 협업으로 친환경 배터리 소재 사업의 멈춤 없는 성장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