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한국소설·아동서적 약진… 경제·경영서는 주춤

교보문고, 상반기 베스트셀러 분석

1위 ‘불편한 편의점’… 2위 박근혜 서간문집

한국소설 전년동기 37.6% 증가… 사상최대 증가

주가 하락 등에 경제·경영서적 판매는 7.9% 감소

이재명·윤석열 등 정치인 포커스 맞춘 책 판매 급증

올 상반기 종합베스트셀러 1위에 오른 ‘불편한 편의점’올 상반기 종합베스트셀러 1위에 오른 ‘불편한 편의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집콕족’이 늘면서 올해 상반기 한국소설 판매량이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올 들어 부동산 시장 안정에다 주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재테크 관련 서적의 판매는 줄었다.



7일 국내 최대 서점 교보문고는 상반기(기준일 1월 1일~6월 6일) 종합 베스트셀러 및 도서 판매 동향을 집계한 결과 소설 판매 권수는 전년 동기 대비 13.2% 늘었다고 밝혔다. 종합 베스트셀러 10위권에 이름을 올린 소설은 5종(국내 작품 3종)에 달했다. 특히 한국 소설 판매량은 37.6% 급증했다. 종합 1위는 김호연 작가의 ‘불편한 편의점’이었고 2위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서간문집 ‘그리움은 아무에게나 생기지 않습니다’였다.

10위권에 든 소설은 이미예의 ‘달러구트 꿈 백화점’(6위), 재미교포 이민진의 ‘파친코 1’(8위), 황보름의 ‘어서 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9위), 매트 헤이그의 ‘미드나잇 라이브러리’(10위) 등이다. 교보문고는 “지난해의 경우 종합 1위를 차지한 ‘달러구트 꿈 백화점’처럼 판타지 소설이 대세를 이뤘다면 올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힐링 스토리가 대체한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연도별 소설 분야 내 한국소설 판매 증가율 및 점유율연도별 소설 분야 내 한국소설 판매 증가율 및 점유율



국내 문학작품이 외국어로 번역돼 해외 독자를 만나는 일도 활발해지고 있다. 한국문학번역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번역원 지원으로 해외에서 출간된 한국 문학은 2017년 127종에서 지난해 186년으로 늘면서 연평균 10% 증가세를 보였고 올해도 200종 가까이 번역 소개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영국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1차 후보에 지명됐던 박상영 작가의 ‘대도시의 사랑법’, 부커상 최종 후보에 올랐던 정보라 작가의 ‘저주토끼’ 등 한국 작가들이 유수의 해외 문학상 수상 및 후보에 오르며 판매량이 늘어 역주행 베스트셀러 사례도 나타난다고 교보문고는 설명했다.

분야별 올 상반기 판매 비중을 보면 중고생 학습서가 시장 점유율 14.1%로 1위를 기록했다. 아동 서적은 전년 동기 대비 13.0% 증가하며 점유율 8.3%로 2위에 올라섰다. 반면 경제·경영서는 7.9% 감소했다. 판매 비중도 7.5%로 줄면서 점유율이 3위로 떨어졌다. 종합베스트셀러 10위권에 오른 경제·경영서도 지난해 4종에서 올해는 1종으로 줄었다.

또 대선과 지방선거 등 굵직한 정치 이벤트가 이어지면서 정치·사회 분야 책 판매량은 47% 늘었다. 특히 정치의 팬덤화가 가속화하면서 일반적인 정치 이념이나 사상보다는 박근혜·이재명·윤석열·조국 등 특정 인물에 포커스를 맞춘 책들의 판매가 급증했다.

이날 인터넷 서점 예스24가 발표한 ‘2022년 상반기(1~5월) 도서 판매 동향’에서도 종합베스트셀러 100위권에 오른 도서는 어린이 분야와 소설·시·희곡 분야가 각각 16권으로 가장 많았다. 경제·경영은 14권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권이 줄었다. 이어 자기계발(9권), 국어·외국어·사전(8권), 인문(7권) 등이 뒤를 이었다.

또 국내 도서시장은 코로나19로 때아닌 특수를 만난 것으로 조사됐다. 교보문고의 연평균 환산 도서 판매량을 살펴보면 팬데믹 기간(2020~2022년 상반기)에 2019년과 대비해 판매량이 줄어든 분야는 여행, 잡지, 시·에세이, 외국어, 유아, 역사·문화, 요리 정도였다. 경제·경영이 45.3%로 가장 높은 판매 신장률을 보이는 등 나머지 분야는 평균 20% 성장을 기록했다.

아울러 교보문고는 오프라인 채널과 비슷하던 온라인 채널의 판매 비중이 2020년에는 64.8%로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이 중 모바일 채널은 2019년과 비교할 때 32.9% 늘어나 인터넷 채널의 신장률(20.1%)을 앞질렀다. 현재 교보문고의 온라인 채널 판매 비중은 60.7%에 달한다.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