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세계적 식량 위기 코 앞"…WFP·FAO 경고

WFP 사무총장 "일부 지역 식량 위기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

"러시아가 일으킨 전쟁이 원인" 주장으로 안보리 갈등

8일 스리랑카 수도 콜롬보 시내에서 가스통 충전을 기다리는 주민들이 긴 행렬을 이루며 주변 통행을 막고 있다. AFP연합뉴스8일 스리랑카 수도 콜롬보 시내에서 가스통 충전을 기다리는 주민들이 긴 행렬을 이루며 주변 통행을 막고 있다. AFP연합뉴스




유엔 산하 기구인 세계식량계획(WFP)과 식량농업기구(FAO)가 세계적인 식량 위기가 임박했다고 경고했다.



AP통신에 따르면 두 기구는 6일(현지시간) 공동 보고서를 제출해 이 같이 진단했다.

보고서에는 가뭄과 같은 기후 충격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식량 및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식량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는 주장이 담겼다.

데이비드 비즐리 WFP 사무총장은 "글로벌 식량 위기는 '가장 가난한 사람들'은 물론 그럭저럭 살아가던 수백만 가정마저 위협하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어 "지금 상황은 48개 나라가 정치적인 불안과 폭동, 시위 등으로 발이 묶였던 2011년 '아랍의 봄'이나 2007~2008년 식량 가격 위기 때보다 더 나쁘다"고 했다.

관련기사



인도네시아와 파키스탄, 페루, 스리랑카에서 벌어지고 있는 식량 위기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앞으로 몇 달간 극도의 빈곤이 전망되는 '빈곤 위험지역'에 시급한 인도적 지원을 촉구했다.

이어 에티오피아와 나이지리아, 남수단, 예멘, 아프가니스탄, 소말리아 등 6개국을 재난 '최고 경계' 지역으로 꼽았다. 현재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아프가니스탄 등은 가뭄을, 남수단은 4년째 대규모 홍수를 겪고 있다.

또 보고서는 이들 지역에서 최대 75만 명이 기아와 사망 위기를 겪고 있으며, 이중 40만 명가량이 내전 중인 에티오피아 북부 티그라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영향은 가뭄, 홍수 등 기후 충격에 따른 식량 생산 감소와 경제불안,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한 지역에서 특히 심각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이날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러시아가 만들어낸 글로벌 식량 위기가 사람들을 가난으로 몰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자 유엔 러시아 대사가 회의장에서 퇴장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곡물을 수출하지 못하도록 항구를 봉쇄한 채 우크라이나에서 약탈한 곡물을 판매했다는 신빙성 있는 보도가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앞서 뉴욕타임스(NYT)는 러시아가 병합한 우크라이나 크림반도에서 얼마 전 출항한 선박 10여 척에 실린 밀을 '장물'로 분류해 경고하는 내용의 외교문서를 미국이 아프리카 국가와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터키 등 14개국에 보냈다고 전했다.


마주영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