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500억 피해’ 디스커버리 펀드 장하원, 영장 심사 출석

구속 기로 놓인 디스커버리펀드 장하원 대표

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으로 일관

구속 여부는 밤 늦게 결정될 전망

연합뉴스연합뉴스




펀드 환매 중단 사태로 2500억 원대 피해를 낸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장하원 대표가 8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법원에 모습을 드러냈다. 장 대표는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이기도 하다.



장 대표는 이날 서울남부지법 권기만 영장전담 부장판사 심리로 진행되는 심문에 출석했다. 그는 “부실펀드 판매·투자금 돌려막기 혐의 등을 인정하시냐”고 묻는 취재진 질문에 아무 대답도 하지 않은 채 법정으로 들어갔다. “펀드 ‘쪼개기 운용’ 의혹을 인정하는지, 피해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는지” 등의 질문에도 장 대표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피해자들은 장 대표를 향해 “사기꾼아” “폰지 사기 인정하라” 등 고함을 지르기도 했다.



앞서 장 대표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회사 임원 1명과 함께 사전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장 대표의 구속 여부는 밤 늦게 결정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장 대표는 펀드에 부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알고서도 이를 숨긴 채 판매하고, 판매 수익이 없는 상황에서 신규 투자자가 낸 투자금을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금으로 지급하는 ‘폰지 사기’ 수법을 쓴 혐의를 받는다.

사건을 수사해 온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지난달 영장을 신청했으나 서울남부지검이 보완수사를 요구하며 한 차례 반려했다. 이후 경찰은 약 한 달간 보강 수사를 거쳐 영장을 재신청했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지난 2017∼2019년 4월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 등 시중은행과 증권사를 통해 판매됐다. 이후 운용사의 불완전 판매와 부실 운용 등 문제로 환매가 중단돼 개인·법인 투자자들이 피해를 보며 논란이 됐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 말 기준 환매 중단으로 은행 등이 상환하지 못한 잔액은 모두 2562억 원에 달한다.

장 대표는 장하성 중국대사의 친동생으로, 장 대사 역시 60억 원 가량을 디스커버리펀드에 투자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과 채이배 전 바른미래당 의원, 장 대사의 고려대 동료 교수들도 투자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는 이날 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 대표의 구속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디스커버리 사모펀드의 설계·설정·운용 과정의 모든 열쇠를 쥐고 있는 장하원은 반드시 구속돼야 한다”며 “이번 영장실질심사를 통해 디스커버리펀드 사태가 원만하게 해결되고 정부 정책의 신뢰가 무너지지 않길 바란다”고 했다.


이건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