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안보 위기에 당정대 “강경 대응” 한목소리…“임기 내 핵 대응 수단 마련”

北 5일 미사일 도발 이어 핵실험 징후 포착

당정 “文 정부와 다를 것”…강경 대응 엄포

대통령실 “임기 내 핵 무력화 대책 강구”

야당에 원구성 촉구도 “국방위 열지도 못해”

권성동(왼쪽 세번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8일 국회에서 열린 국가안보 점검 당·정·대 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성형주 기자권성동(왼쪽 세번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8일 국회에서 열린 국가안보 점검 당·정·대 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성형주 기자




북한이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등 8발의 미사일을 발사한 데 이어 7차 핵실험 징후까지 포착되자 ‘당정대’가 한 자리에 모여 대응 마련에 나섰다. 국민의힘과 정부는 북한의 도발을 규탄하며 문재인 정부와 달리 신속·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 자리에서 대통령실이 임기 내 북한 핵 위협을 실질적으로 무력화 할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국민의힘은 국회 원 구성 지연으로 인해 국방위원회를 열지 못하고 당정협의회로 대체했다는 사실을 전하며 민주당에 조속한 원구성을 촉구하기도 했다.



국민의힘과 외교부·국방부·통일부·대통령실 국가안보실은 8일 국회에서 당·정·대 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관련기사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북한이 무력 도발에 이어 핵 실험을 하는 것은 주민의 목숨을 건 무모한 도박”이라고 비판했다.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역시 “경제 위기 속 북한의 도발은 심각한 안보 불안 요소”라고 우려했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 미사일 대응을 위해 한국형 3축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당정은 문재인 정부의 북한 도발 대응이 미온적이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강경 대응 기조를 내세웠다. 권 원내대표는 “지난 정권은 미사일을 두고 미상발사체라는 해괴한 말을 사용해 북한을 비호한다는 평가를 받았다”며 “(윤석열 정부는) 더이상 북한에 일방적으로 끌려 다니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인호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2차장은 “윤석열 정부는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줄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실제로 군은 북한의 도발에 지대지 미사일 8발 대응 사격으로 응수했다. 7일에는 한미 공군이 연합해 20대의 전투기가 편대비행하며 대북 무력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대통령실에서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신 차장은 “3축 체계를 중심으로 북한의 핵 미사일을 실질적으로 무력화 시킬 대안을 임기 내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민의힘은 위기 대응을 위해 국회 정상화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한기호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원래 북한의 도발이 있으면 국회 국방위원회가 열려야 한다”며 “현재 국회에 상임위가 부재해 부득이하게 당정협의회를 개최했다”고 설명했다. 양금희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국회 공백이 10일째”라며 “엄중한 안보위기 상황이다. 민주당은 하루빨리 국회 정상화에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