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국내은행 BIS 보통주 자본 비율 12.99%…금감원 "모든 은행 규제비율 웃돌아"





올해 1분기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이 작년 말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3월말 기준 국내 은행의 BIS 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이 작년말과 같은 12.99%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기본자본비율은 14.22%, 총자본비율은 15.52%,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42%로, 각각 전분기 말 대비 큰 변화가 없었다. 자본비율은 부채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로 은행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핵심지표다. 현재 보통주자본비율은 7.0%, 기본자본비율 8.5%, 총자본비율 10.5%, 단순기본자본비율은 3%를 규제 비율로 삼고 있다.

관련기사



금감원 관계자는 "대출 증가 등으로 위험가중자산이 2.6%(51조7000억원) 늘었지만 순이익 시현과 증자 등으로 자본도 2.5%(7조7000억원) 증가하면서 자본비율이 전반적으로 작년 말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며 "3월말 현재 모든 국내은행이 규제비율을 상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은행별로 등락은 있다. 카카오·SC·농협·씨티·BNK·산업 등 6개 은행은 위험가중자산이 감소했거나 증자 등으로 보통주자본비율이 전년 말 대비 상승했다. 반면 케이·수출입·하나·우리·수협·DGB·신한·JB·KB·기업 등 10개 은행은 보통주자본비율이 소폭 하락했다. 위험가중자산 증가율이 자본 증가율을 상회한 탓이다.

또 5대 금융지주의 보통주자본비율은 하나(13.57%), KB(13.42%), 농협(13.08%), 신한(13.00%), 우리(11.26%) 순으로 높았다.

금감원은 "대내외 경제 충격에도 은행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바탕으로 자금중개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은행의 자본확충을 지속해서 유도할 예정"이라며 "은행의 핵심 손실흡수능력을 나타내는 보통주자본비율 중심으로 감독을 강화함으로써 은행의 자본충실도를 높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